대장내시경 암·용종 발견 AI 국내 도입…발견 시 알람으로 신호

검사 보조 AI 시스템 '엔도브레인 아이'

 올림푸스한국은 대장내시경 검사 시 실시간으로 암과 용종 등을 발견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을 국내 도입한다고 17일 밝혔다.

 올림푸스한국은 이날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대장내시경 검사를 보조하는 AI 시스템 '엔도브레인 아이'(EndoBRAIN-EYE)의 국내 출시를 알렸다.

 이 제품은 약 395만장의 대장내시경 영상을 AI에 딥러닝으로 학습시켜서 분석하게 함으로써, 의사들이 진단을 내릴 때 이를 보조할 수 있도록 개발된 소프트웨어다. 의료 내시경, 복강경 등 올림푸스에서 출시해왔던 제품 중 처음으로 AI 기술이 적용됐다.

 엔도브레인 아이는 대장내시경 검사 중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에서 용종이나 암 등 병변이 발견되면 알림 소리가 울리는 식으로 의료진에 경고한다. 소리와 함께 내시경 영상이 보이는 화면의 프레임에 색깔도 표시한다.

 올림푸스한국에 따르면 이 제품은 임상시험에서 용종이나 암과 같은 병변을 병변으로 진단하는 민감도 98%, 정상 부위를 정상으로 진단하는 특이도 93.7%를 나타내 정확도를 확보했다.

 대장내시경 검사에서는 장 내 잔여물이나 해부학적 구조에 따른 특이사항을 병변으로 오인하지 않는 게 중요한데, 병변만을 발견·분석하는 능력이 파악된 데 의미가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엔도브레인 아이는 올림푸스의 소화내시경인 에비스 루세라 엘리트와 엑세라Ⅲ에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시스템을 사용해 대장내시경 검사를 하는 의료기관에서는 이 제품을 설치하면 검사 시 AI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단 올림푸스 외 기업의 내시경 기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올림푸스한국 박인제 GIR(소화기·기관지내시경) 본부장은 "혁신 제품을 한국 시장에 빠르게 도입하고 데이터를 구축하겠다는 목적에 따라 출시를 결정했다"며 "첨단 AI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출시해 의료현장에 새로운 진단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올림푸스한국은 글로벌 의료기업 올림푸스의 한국 법인이다. 올림푸스는 광학의료기술을 바탕으로 의료 내시경, 복강경, 수술 장비 등을 제조·판매하는 기업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 아직은 집단행동 자제…정부 강경기조에 '신중 모드'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전공의 단체가 즉각적인 집단행동에 나서기보다는 우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며 신중을 기하는 모양새다. 정부에서도 전공의들이 당장 집단행동 의사를 표명하지 않은 데에 한숨을 돌렸다. 다만 전공의들이 언제든 집단휴진과 같은 총파업이나 집단사직 등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전공의들이 수련 재계약 거부 등 법적 테두리 내에서 투쟁을 모색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 대전협, '비대위 체제' 전환…집단행동은 표명 안해 13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전날 진행된 온라인 임시대의원총회에서 박단 회장을 제외한 집행부 사퇴와 비상대책위원회 전환을 의결했다. 대전협은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이러한 결과를 보고하면서도, 향후 집단행동 계획에 대해서는 명확히 공개하지 않았다. 의료계 안팎에서는 전공의들이 우선 '신중 모드'에 접어든 것이라는 해석이 우세하다. 그동안 대전협이 여러 차례 집단행동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했음에도 불구하고, 비대위 체제 전환 외에 구체적인 '액션 플랜'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는 점에서다. 정부가 의사들의 집단행동에 법과 원칙에 따른 '강경 대응' 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박테리오파지 DNA 이용해 치명적 항생제 내성균 잡는다"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문제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미국 연구진이 세균에 침투할 수 있는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자를 조작해 박테리아에 침투시키는 방법으로 치명적인 항생제 내성균을 죽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에리카 하트만 교수팀은 미국 미생물학회(ASM) 학술지 미생물학 스펙트럼(Microbiology Spectrum)에서 박테리아에 박테리오파지 DNA를 투입해 내부로부터 세균을 죽이는 기술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치명적인 병원균의 하나인 녹농균에서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박테리오파지를 질병 치료에 이용하는 '파지 치료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 연구 결과는 바이러스 DNA를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를 죽이는 새로운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중요한 진전이라고 말했다. 항균제 내성 박테리아 증가는 전 세계 보건에 시급하고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매년 약 300만 건의 슈퍼박테리아 감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3만5천여 명이 사망하고 있다. 하트만 교수는 "박테리오파지는 여러 면에서 미생물학의 '마지막 미개척지'지만 이를 이용한 파지 치료는 항생제 의존도를 낮출 수 있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