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감염 후유증' 세계 보건 의료계 심각한 위험 급부상

유럽 미생물학 감염병 협회 총회, '롱 코비드'에 관심 쏠려
'코로나19 환자 60%, 후유증 최소 1년 지속' 등 보고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이 길어지면서 '코로나 감염 후유증', 일명 '롱 코비드'(long COVID)가 세계 보건 의료계의 심각한 위협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롱 코비드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치료 환자에게 나타나는 다양한 유형의 후유증을 말한다.

 하지만 롱 코비드의 심각성이 알려지면서 코로나19 환자에게 '완치'라는 표현을 쓰는 게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롱 코비드에 대한 과학계의 경고가 나온 건 만 1년이 넘었다.

 하지만 코로나 팬데믹이 차수를 바꿔가며 확산과 소강 국면을 오가는 와중에 충분한 대책을 세우기는 사실 어려웠다.

 하여튼 이젠 롱 코비드가 코로나 팬데믹 못지않은 '발등의 불'이 됐다.

 지난 23∼26일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열린 '유럽 임상 미생물학 감염병 협회' 총회(ECCMID)에서도 롱 코비드가 중요한 이슈로 다뤄졌다.

 27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주요 보고서 내용을 살펴봤다.

 ◇코로나19 환자 10명 중 6명, 후유증 최소 1년 간다

 '룩셈부르크 건강 연구소'(LIH) 연구팀은 코로나19 환자 289명(여성 50.2%, 평균 연령 40.2세)을 확진 1년 뒤까지 추적했다.

 64개 유형의 롱 코비드 증상을 놓고 설문조사를 진행한 뒤 초기 감염의 중증도에 따라 무증상·경증 및 중등도·중증 등 세 그룹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그룹별로 최하 25%에서 최고 40%가 롱 코비드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감염증이 심할수록 롱 코비드를 앓는 기간도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예컨대 15주 안에 감염증이 치료되지 않은 환자(전체의 59.5%)는 최소 1년간 피로, 호흡 곤란 등의 후유증 가운데 한 가지 이상을 겪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계속해서 피로감을 느낀 환자가 34.3%, 호흡계 증상으로 삶의 질이 나빠진 환자가 12.9%, 지속적인 수면 장애에 시달린 환자가 54.2%였다.

 중등도 및 중증 환자가 1년간 한 가지 이상의 후유증을 겪을 위험은 무증상 환자의 두 배였다.

 또 중등도 및 중증 코로나19가 1년이 지난 뒤 수면 장애와 연관될 가능성은 각각 무증상의 38.6%, 63.8%였다.

 ◇중환자실 코로나19 환자 3명 중 1명, 롱 코비드 겪어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과학자들은 코로나19 중증도와 롱 코비드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춘 보고서를 총회에 제출했다.

 스톡홀름에 사는 만 18세 이상 주민 20만5천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코호트 연구'(cohort study) 결과였다.

 2020년 3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들로 코호트를 구성했다. 이 중엔 롱 코비드 진단을 받은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섞여 있었다.

 코로나19를 심하게 앓을수록 롱 코비드 위험도 커진다는 게 다시 확인됐다.

 중환자실 치료를 받은 경우엔 약 3분의 1(32%)이 롱 코비드를 겪었다.

 하지만 그냥 입원만 했을 땐 6%, 외래 환자였을 땐 1%로 롱 코비드 발생 비율이 급격히 떨어졌다.

 입원 환자와 중환자실 환자에겐 '숨 가쁨'(shortness of breath)이 가장 흔한 롱 코비드 증상(입원 23%, 중환자실 39%)이었다. 이와 달리 외래 환자에게 '피로감'(26%)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경증인 경우엔 여성의 롱 코비드 위험이 남성의 두 배를 넘었고, 입원 환자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중환자실 그룹에선 이런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롱 코비드 환자의 외래 진료 비율은 최초 감염 후 10∼12개월이 지났을 때 급격히 높아졌다.

이는 의료계의 롱 코비드 부담이 심각한 수준으로 커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실, 롱 코비드의 위험을 알리는 경고음은 일찌감치 터져 나왔다.

 외국 연구팀의 관련 논문이 주요 과학 저널에 등장하기 시작한 건 만 1년이 넘었다.

 지난해 4월 저널 '네이처'에 실린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의대 연구팀의 논문은 최대 규모의 포괄적 '롱 코비드 연구'로 평가됐다.

 이 대학의 지야드 알-알리(Ziyad Al-Aly) 조교수와 동료 과학자들은 미국 재향군인 관리국(VHA)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코로나19 환자 8만7천여 명과 대조군 500만 명의 의료기록을 비교 분석했다.

 코로나19를 '30일' 이상 앓은 환자가 후유증으로 사망할 위험은 일반인보다 60%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후유증은 호흡계 외에도 신경계, 심혈관계, 위장관계, 근골격계 등 거의 신체 부위에 나타났고 불안, 우울, 수면 장애 등 정신적 충격도 심각했다.

 지난해 10월 미국 의사협회 저널 '자마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게재된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버넌 친칠리 교수팀의 논문도 눈길을 끌었다.

 연구팀은 당시 세계 각국에서 발표된 관련 연구 보고 57건을 리뷰(재검토)해, 코로나19 환자 2명 중 1명꼴로 6개월 넘게 후유증을 겪는다고 밝혔다.

 이 '메타 분석'(meta-analysis)엔, 코로나 팬데믹이 처음 불거진 2019년 12월부터 2021년 3월까지 백신 미접종 상태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성인과 아동 2만5천351명의 의료 데이터가 사용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