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맘' 근무에 따른 시간 부족으로 모유 수유 못해"

의료기관 종사자 실태조사…모자동실 사용시 모유수유 기간 길어

 직장 생활과 육아를 병행하는 여성들은 모유 수유를 하고 싶어도 지속하기가 쉽지 않다. 국내 한 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 응답자의 80%가 근무로 인한 시간 부족을 그 이유로 꼽았다.

  이대용 중앙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와 정성훈 강동경희대병원 교수 연구팀은 국내의 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175명을 대상으로 모유 수유 실태조사를 시행한 결과를 대한의학회지(JKMS)에 공개했다.

 조사 대상자는 모두 최근 5년 이내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이다. 175명 중 주간 근무자는 108명(61.7%), 2교대 근무자는 34명(19.4%), 3교대 근무자는 33명(18.9%)이었다.

 직장에 복귀한 뒤 모유 수유의 어려움에 대한 질문(복수 응답)에는 112명이 응답했고, 이 중 87명(77.7%)은 근무로 인한 시간 부족을 이유로 꼽았다. 82명(73.2%)은 모유 유축을 위한 적절한 장소와 여건이 부족한 현실을 지적했다.

 출산 전 모유 수유를 고려한 경우는 150명(85.7%)이었고, 실제 160명(91.4%)이 출산 후 1개월 이상 모유 수유를 했다.

 출산 후 모자동실에 머물렀을 때 모유 수유를 더 길게 하는 경향이 있었다.

 모자동실에 머문 산모 133명 중에서 111명(93.3%)이 1개월 이상 모유 수유를 지속했으나 모자동실을 쓰지 않은 산모 14명 중에서 1개월 이상 모유 수유를 지속한 경우는 10명(71.4%)에 불과했다.

 근무 형태별로 보면 주간 근무자 중 95명(88.0%), 2교대 근무자 중 32명(94.1%), 3교대 근무자 중 33명(100%)이 1개월 이상 모유 수유를 지속했다.

 연구팀은 "전국 각지 의료기관에서 모든 직업군을 포괄하는 대규모 조사가 아니라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나, 업무 복귀 후에도 모유 수유 지속할 수 있는 시설이나 정책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내년 3월 의료·요양 통합돌봄 본격 개시…복지부 추진본부 구성
보건복지부는 내년 3월 의료·요양 통합돌봄 본사업 시행을 앞두고 장관을 필두로 한 통합돌봄 추진본부를 출범시켰다고 11일 밝혔다. 의료·요양 통합돌봄은 노인이나 장애인 등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원래 살던 곳에서 건강한 생활을 누리도록 시군구 중심으로 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추진본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운영 중이던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추진단'을 확대·개편한 것으로, 복지부 장관이 단장을 맡는다. 대상자 확대반, 사회서비스 연계반, 의료취약지 지원반 등 총 7개 반으로 구성돼있다. 추진본부는 출범 첫날인 이날 제1차 회의를 열고 통합돌봄 추진 현황과 향후 계획·방향을 점검했다. 2023년 7월부터 시작한 통합돌봄 시범사업에는 현재 지방자치단체 131곳이 참여 중으로, 내년 3월 27일에는 전국적으로 통합돌봄 본사업이 시작된다. 복지부는 추진본부 회의를 매월 2회 이상 열고 본사업을 준비하고, 다양한 서비스와 인프라를 확충할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돌봄은 국가와 지자체가 함께 책임져야 할 과제로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통합돌봄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