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에 나쁜 영향 '고지방식', 왜 나쁜지 과학적으로 입증"

다량의 지방 섭취→산화질소 수위 상승→암 진행 자극
미국 일리노이대 연구진, 미국 화학회 'ACS 중심 과학'에 논문

 나쁜 식습관이 암을 부르고 암의 진행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오래전부터 존재했다.

 마침내 이 가설이 사실이라는 걸 강력히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음식물에 포함된 지방의 양과 몸 안의 산화질소(Nitric oxide) 수위 사이에 분명한 연관성이 있다는 게 과학적 실험을 통해 입증된 것이다.

 산화질소는 암의 발달, 염증 발생 등에 관여하는 신호 분자다.

 미국 일리노이대 어배너-섐페인 캠퍼스의 '베크만 첨단 과학 공학 연구소' 과학자들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최근 미국 화학회(ACS)가 발행하는 저널 'ACS 중심 과학'(ACS Central Science)에 논문으로 실렸다.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따르면 연구팀은 종양 미세환경의 미묘한 변화가 분자 수준에서 암의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데 초점을 맞췄다.

 세포는 생존과 성장을 위해 일반 세포와 다른 주변 환경을 조성하는데 이를 종양 미세환경이고 한다.

 양 미세환경에 깊숙이 관여하는 요인 중 하나가 바로 염증이다.

 구팀은 특히 칼로리가 높고 지방이 많이 함유된 고가공식(highly processed food)에 주목했다. 고가공식이 특정 염증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가공식은 원재료에 화학물질, 착색제, 감미료, 방부제 등이 추가된 식품을 말한다.

  비스킷, 케이크, 시리얼, 소시지 등 재생육, 훈제 향을 입힌 재 가공육, 라면 등이 여기에 속한다.

  그런데 급성이건 만성이건 염증에선 산화질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산화질소는 암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됐다.

 일례로 암이 처음 싹틀 때 면역세포는 세포 독성을 띨 만큼 다량의 산화질소를 생성한다.

 그러다가 시간이 지나면 농축된 산화질소만 종양 미세환경에 남는다.

 하지만 이 과정엔 음식 섭취, 산소 첨가 등의 다른 요인이 가세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산화질소가 암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게다가 고지방식과 산화질소 수위의 분자적 연관성을 규명하려면 심층 조직(deep-tissue)의 이미지를 정확히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난제를 풀기 위해 연구팀은, 활동에 기반해 산화질소를 감지하는 'ABS 프로브'(연구 명칭 BL660-NO)를 최초로 개발했다.

 이 '분자 프로브'(molecular probe)를 쓰면 맨눈으로 보기 힘든 분자의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과학자들이 암에 작용하는 산화질소의 근적외선 생체발광 이미지를 포착한 것도 이 분자 프로브 덕이다.

 실험 모델로는 인간의 간 전이암 조직과 생쥐에 생긴 유방암 조직을 썼다.

 원래 '분자 프로브'는 인접한 분자의 특성을 연구하는 데 쓰는 원자 및 분자 그룹을 말한다.

 실험 결과, 생쥐에게 고지방 먹이를 주면 종양 미세환경의 산화질소 수위가 빠르게 올라갔다.

 이런 생쥐는 저지방 먹이를 준 대조군보다 살이 많이 쪘고 종양도 더 커졌다.

 염증을 촉진하는 고가공 사료를 먹이면 대식세포가 더 많이 몰려들고, 산화질소 합성을 유도하는 시스템이 과잉 작동했다.

 그러면 산화질소 생성량이 증가하면서 암의 진행을 자극했다.

 연구팀은 고지방식과 종양 내 산화질소 수위, 암 발달의 직접적 연관성이 이렇게 입증된 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발견이 향후 암의 진단과 치료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