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이후 치매, 연령ㆍ위험 요인 따라 '천차만별'

55세 당뇨병→치매 위험 4배, 65세 심근경색→2배
80세 당뇨병+뇌졸중→ 40∼70% 상승
스웨덴 우메오대 연구진, 미국 신경학회 저널에 논문

 보통 심혈관계에 위험 요인이 있으면 치매에 걸릴 위험도 커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50대 중반 이후엔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등의 혈관 위험 요인 가운데 어떤 게 있는지에 따라 치매 위험이 크게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먼저 55세 전후엔 당뇨병과 고혈압이 향후 10년 내 치매에 걸릴 위험을 높였다.

 또 65세 땐 심장 질환이, 70세 땐 당뇨병과 뇌졸중이 그랬다.

 80세 땐 당뇨병과 뇌졸중 병력을 가진 사람이 치매에 더 많이 걸렸다.

 스웨덴 우메오 대학(Umea University) 과학자들이 주도한 이 연구 결과는 18일(현지 시각) 미국 신경학회 저널 '신경학'(Neurology) 온라인판에 논문으로 실렸다.

 이 대학 과학자들은 미국 매사추세츠주 소재 프레이밍햄 연구소가 진행한 '심혈관 코호트(같은 특성을 가진 집단) 장기 연구'(Framingham Heart Study)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가 시작될 때 55세 전후의 주민 4천899명이 참가했다.

 이 가운데 80세가 될 때까지 치매 증상을 전혀 보이지 않은 사람은 48.7%인 2천386명이었다.

 연구팀은 65세부터 치매가 생겼는지 추적했다.

 55세 때 당뇨병인 사람은 10년 안에 치매가 올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사람의 4배에 달했다.

 55세 때 고혈압인 사람도 치매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고혈압 그룹은 '수축기 혈압'이 10포인트 상승할 때마다 치매 위험이 약 12% 커졌다.

 65세 때 심근경색 등의 심혈관 질환이 있으면 치매 위험이 약 두 배가 됐다. 하지만 뇌졸중은 이 연령의 치매 위험 요인에 포함되지 않았다.

 70세 땐 당뇨병과 뇌졸중을 함께 앓을 경우 치매 위험이 컸다.

 80세에 뇌졸중이나 당뇨병이 있으면 치매 위험이 40% 내지 60% 높았다.

 미국 신경학회 회원 자격으로 이번 연구에 참여한 아일랜드 골웨이 국립대학의 에머 맥그래스 부교수는 "치매는 복잡한 질환이어서 위험 예측 지수도 개인 맞춤식으로 산출해야 한다"라면서 "연령대별로 치매 위험을 예측한 지수가 더 정확하다는 게 확인됐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의 한계는 거의 모든 참가자가 백인이라는 것이다.

 연구 결과를 다른 인종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맥그래스 교수는 "그런 결함이 있긴 하지만, 미래의 치매 위험을 더 정확히 예측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치매 위험을 줄이는 생활양식 변화나 위험 요인 관리 등을 개인 맞춤형으로 권고할 수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