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후유증 '롱 코비드, 백신으로 예방 효과 크지 않다"

미접종자보다 '사망' 34%↓ vs '롱 코비드' 15%↓
경증 '돌파 감염'도 심장·뇌·폐·신장 등 후유증 유발
미국 워싱턴의대 연구진, 저널 '네이처 메디신'에 논문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이 길어지면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후유증, 일명 '롱 코비드'(long COVID)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롱 코비드는 코로나19 치료 환자에게 나타나는 여러 유형의 장기 후유증을 말한다.

 사람들은 보통 코로나19 백신을 맞으면 롱 코비드를 막는 데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기대한다.

 그런데 백신이 롱 코비드를 예방하는 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백신 접종자가 롱 코비드에 걸릴 위험은 미접종자보다 약 15% 낮았다.

 백신을 맞았을 때 코로나19 사망 위험이 약 34% 주는 것과 비교하면 백신의 롱 코비드 억제 효과는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뜻이다.

 게다가 가벼운 증상의 돌파 감염도 심장, 폐, 뇌 등 주요 기관에 다양한 후유증을 일으켰다.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 과학자들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25일(현지 시각) 저널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에 논문으로 실렸다.

 이제 백신이 코로나19를 완전히 막을 수 없다는 건 누구나 안다.

 백신을 다 맞은 사람도 언제든지 돌파 감염될 수 있다.

 연구팀은 미국 보훈국(U.S.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DB(database)에 등록된 재향 군인 1천300만여 명의 의료 기록을 활용했다.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발생한 백신 미접종 코로나19 환자 11만3천474명과 돌파 감염 환자 3만3천940명을 가려내 분석했다.

 이들 환자는 대부분 백인 고령자였다. 그래서 다양한 연령대와 인종에 걸쳐 성인 남녀 130만 명을 추가했다.

 화이자나 모더나의 mRNA 백신은 2회까지 맞아야 '완전 접종자'로 분류했다. 하지만 존슨앤드존슨이나 얀센 백신은 한 차례만 맞아도 접종자로 간주했다.

 분석 결과, 백신을 접종하고 코로나19에 걸린 환자의 8% 내지 12%가 치료 후 롱 코비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파 감염자는 심장ㆍ뇌ㆍ폐 외에도 신장, 혈전, 신경계, 물질대사, 위장관, 근골격계 등에 롱 코비드가 왔다.

 이렇게 돌파 감염으로 롱 코비드가 올 가능성은, 면역력이 손상된 사람이 건강한 사람보다 17% 높았다.

 돌파 감염으로 입원한 코로나19 환자(3천667명)가 사망할 위험은 계절 독감 입원 환자(1만4천337명)의 2.5배에 달했다.

 이런 코로나19 환자가 확진 30일 이내에 롱 코비드에 걸리는 경우는 독감 입원 환자보다 27% 많았다.

 백신을 맞고 코로나19에 걸린 환자는 코로나 팬데믹 이전의 대조군과 비교해도 건강 이상을 많이 겪었다.

 특히 심장이나 폐 질환, 신경 질환, 신부전(kidney failure) 등으로 사망할 위험이 상당히 컸다.

 논문의 제1 저자인 워싱턴 의대의 지야드 알 알리 조교수는 "백신을 맞으면 코로나19 입원과 사망 위험이 줄지만, 롱 코비드를 막는 효과는 크지 않은 것 같다"라면서 "돌파 감염 회복 환자의 경우 일상 활동이 어려울 정도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는 게 좋다"라고 조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