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병의 근원' 스트레스, 코로나 면역력도 떨어뜨린다

뇌 시상하부 자극→ 면역 반응 저해 메커니즘 첫 규명
림프절의 백혈구, 혈액ㆍ골수로 '대이동'
미국 마운트 시나이 의대 연구진, 저널 '네이처'에 논문

 보통 스트레스는 정신적ㆍ신체적 자극을 받았을 때 이에 대항해 변화를 일으키려는 정신적 압박을 말한다.

 외부에 '스트레스 요인'이 생기면 긴장, 각성, 흥분, 불안 같은 생리 반응이 나타난다.

 스트레스는 외부 압박을 원상으로 되돌리려는 반작용으로 볼 수 있다.

 스트레스가 건강에 해롭다는 건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심지어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라는 말도 있다.

 만 2년을 넘긴 코로나 팬데믹에도 스트레스는 나쁜 영향을 미쳤을 거로 짐작된다.

 이런 추론이 사실이라는 걸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걸리거나 인플루엔자(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에서 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면역 반응이 뚜렷이 약해진다는 게 요지다.

 연구팀은 이번에 뇌의 특정 영역이 세포의 면역 반응을 통제하는 메커니즘도 처음 밝혀냈다.

 미국 마운트 시나이 의대 과학자들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30일(현지 시각) 저널 '네이처'(Nature)에 논문으로 실렸다.

 이번 연구의 최대 성과는, 스트레스가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면역 반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낸 것이다.

 과학적 실험을 통해 이 메커니즘이 확인된 건 처음이다.

 이 발견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의 개인별 위증도 차이가 큰 이유를 설명하는 데도 도움이 될 거로 보인다.

 심한 스트레스가 생겼을 때 곧바로 영향을 받는 영역은 '뇌실결핵 시상하부'(paraventricular hypothalamus)였다.

 스트레스는 이 영역의 뉴런(신경세포)을 자극해 백혈구의 대이동을 유도했다.

 림프절의 백혈구가 한꺼번에 혈액과 골수로 옮겨가게 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과 저항력이 약해지고, 감염 합병증과 사망 위험이 커졌다.

 연구팀은 스트레스를 받은 생쥐와 편안한 상태의 생쥐를 모델로 면역 반응을 비교했다.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생쥐는 몇 분 지나지 않아 백혈구의 대규모 이동이 관찰됐다.

 광유전학(optogenetics) 등 첨단 기술로 확인해 보니, 스트레스가 생겼을 때 곧바로 자극을 받는 건 뇌실결핵 시상하부였다.

 편안한 상태에 있던 생쥐는 '스트레스 그룹'보다 바이러스 감염에 더 잘 맞서 싸웠고 바이러스를 더 쉽게 제거했다.

 스트레스를 받은 생쥐는 면역력이 약해져 바이러스 감염증이 더 심해졌고 더 많이 죽기도 했다.

 연구팀은 갖가지 유형의 면역세포가 골수에서 혈액으로 이동할 때 뇌의 운동 기능 영역이 관여한다는 것도 밝혀냈다.

 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온몸의 백혈구 분포와 백혈구 기능을 제어하는 뇌 영역이 분명히 다르다는 것도 이 실험에서 드러났다.

 물론 연구의 초점은 뇌실결핵 시상하부와 운동 기능 관장 영역에 맞춰졌다.

 스트레스가 백혈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인체의 바이러스 면역력을 떨어뜨린다는 건 향후 면역력 연구에 긴요히 참고될 거로 보인다.

 일례로 백혈구의 혈액 이동이 너무 오래가면 심혈관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어쨌든 스트레스가 인간의 면역계와 바이러스 감염 방어력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건 분명하다.

 이 의대 심혈관 연구소 소장이자 논문의 교신저자인 필립 스워스키 박사는 "어떻게 하면 스트레스 회복력이 생기는지, 스트레스가 면역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그런 회복력으로 경감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라면서 "스트레스의 장기적 영향을 더 깊이 이해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