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진탕 일어나면 전체 뇌세포 네트워크 다시 깔린다

손상 영역 억제성 뉴런, 다른 영역과 연결 끊겨
'중간 뉴런' 이식, 유망한 '치료 표적' 부상
미국 UC 어바인 연구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논문

 뇌진탕으로 더 많이 알려진 '외상성 뇌손상'(TBI: traumatic brain injury)은 머리에 충격이 가해져 뇌 기능의 일시적 장애가 생기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물리적 충격으로 '뇌가 놀란 상태'가 TBI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뇌 손상은 TBI에 해당한다.

 과거엔 주로 의식 상실이 동반하는 걸 TBI로 봤으나 최근엔 의식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교통사고, 산업재해, 스포츠 부상 등이 늘어나는 현대사회에선 TBI도 빠른 증가세를 보인다.

 심하게 TBI를 당하면 다행히 목숨을 건져도 심각한 장애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런 환자는 평생 신체ㆍ인지ㆍ감정적 장애를 안고 살아가야 한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심한 뇌진탕이 발생할 경우 여러 뇌 영역과 뉴런(신경세포) 사이의 신호 교환 체계가 바뀌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는 상세히 알지 못했다.

 마침내 미국 연구진이 이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뇌의 한 부분이 심하게 손상되면 이를 수리하기 위해 전체 뇌의 뉴런 연결망에 달라진다는 게 요지다.

 이 발견은 손상된 뇌의 복구와 간질 치료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UC 어바인) 과학자들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15일(현지 시각)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논문으로 실렸다.

  연구팀은 용매(溶媒)로 생물학 샘플을 투명하게 만드는 기술(일명 'iDISCO')을 개량해 이번 실험에 사용했다.

 이 기술로 처리한 뇌에 레이저를 쬐면 특수 현미경으로 입체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고 한다. 그렇게 해서 뇌 전체의 신경 연결망이 어떻게 돼 있는지 알아냈다.

 초점은 억제성 뉴런(inhibitory neurons)의 접속에 맞춰졌다. 억제성 뉴런은 뇌 손상으로 인한 소멸에 극도로 취약하다.

 연구팀은 먼저 학습과 기억 중추인 해마(hippocampus)를 살펴본 뒤 해마의 공조 영역인 전전두엽 피질(prefrontal cortex)을 관찰했다.

 두 영역의 억제성 뉴런은 TBI가 생긴 뒤에도 인접한 뉴런과 더 많은 접속을 형성했다.

 하지만 다른 영역의 뉴런과는 접속이 끊겨 있었다.

 연결이 훼손된 부분을 더 확대해 보니, 멀리 떨어진 뉴런의 돌기는 여전히 손상 영역을 향해 뻗어 있었다.

 그런데 억제성 뉴런과 더는 접속하지 못하는 게 문제였다.

 한 연구원은 "마치 일부 영역의 손상을 받아들인 뇌가 조심스럽게 전체 연결망을 다시 깔고 있는 것 같다"라면서 "직접적 손상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영역이 그랬다"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손상 영역의 억제성 뉴런을 멀리 떨어진 영역의 뉴런과 다시 연결하는 방법도 찾아냈다.

 동물 모델의 손상된 해마에 '중간 뉴런'(interneuron)을 이식하면 뇌의 어느 영역에서 오는 것이든 다른 뉴런의 접속을 받아들였다.

 이는 손상된 뇌가 끊긴 신경세포 연결을 스스로 복원하게 유도할 수 있다는 뜻이다.

 중간 뉴런은 중추신경계의 운동 뉴런과 감각 뉴런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한다.

 물론 이 방법이 언젠가는 TBI나 간질 등의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식한 중간 뉴런이 손상된 신경망에 통합되는 메커니즘을 밝혀내는 게 중요한 과제로 남았다.

 UC 어바인 '간질 연구 센터' 소장으로서 이번 연구를 주도한 로버트 헌트 부교수는 "중간 뉴런 이식이 선천적인 재생 능력을 증강하는 물질의 분비를 자극해 뇌를 회춘시킬 거라고 주장도 있다"라면서 "하지만 지금까지 확인한 바로는 새로운 뉴런이 뇌에 연결되는 건 매우 어렵다"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