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에 좋다는 콜라겐, 암세포가 만들면 전혀 다르다

암세포 특이 콜라겐, 세포외 기질 형성→종양 내 미생물 구성 변화
암세포 공격하는 킬러 T세포 줄고, 면역 억제 세포 늘어
미국 텍사스대 M. D. 앤더슨 암 센터, 저널 '캔서 셀'에 논문

 우리 몸 안에 있는 단백질 중 가장 많은 게 1형 콜라겐이다.

 섬유아세포에 의해 만들어지는 이 콜라겐은 대부분의 뼈, 힘줄, 피부 등에서 발견된다.

 그런데 암세포가 독특한 콜라겐을 만들어 면역계 공격을 피하는 데 이용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췌장암이 생긴 생쥐 모델에 실험한 결과, 암 종양이 소량 생성하는 이 콜라겐은 특이한 구조의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을 형성했다.

 그러면 이 세포외 기질이 종양 내 미생물 총의 구성을 바꿔 면역계의 공격을 막았다.

 보통 콜라겐과 형태가 다른 이 콜라겐은 매우 구체적이고 분명한 암 치료 표적이 될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이 연구는 미국 텍사스대 M.D. 앤더슨 암 센터의 라구 칼루리 박사팀이 수행했다.

 관련 논문은 21일((현지 시각) 셀 프레스에서 발행하는 '동료 심사' 종양학 저널 '캔서 셀'(Cancer Cell)에 논문으로 실렸다.

 이번 연구의 최대 성과는, 섬유아세포가 생성하는 보통 콜라겐과 암세포가 만드는 특수한 콜라겐의 기능이 어떻게 다른지 규명한 것이다.

 논문의 수석저자를 맡은 칼루리 박사는 "암세포는 전형과는 거리가 먼 독특한 콜라겐을 만들어 자기를 방어하는 세포외 기질을 형성한다"라면서 "이 세포외 기질은 T세포를 축출할 뿐 아니라 암세포의 생존과 확산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종양 내 미생물이 변하게 했다"라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콜라겐은 2개의 α1 체인(사슬 구조)과 1개의 α2 체인으로 구성된 '이종 3량체'(heterotrimer) 형태를 띤다.

 이런 3량체(3분자체)가 결합한 '3중 나선'(triple-helix) 구조가 모여 세포외 기질을 형성한다.

 따라서 보통 콜라겐을 만드는 섬유아세포엔 α1과 α2 유전자가 모두 발현한다.

 그런데 인간의 췌장암 세포는 α1 유전자(COL1a1)만 나타났다.

 원인을 확인해 보니 암세포는 후성 유전적 과메틸화(hypermethylation)를 통해 α2 유전자((COL1a2)의 발현을 막았다.

 암세포가 3개의 α1 체인으로 구성된 '동형 3량체'(homotrimer) 콜라겐을 생성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이런 암세포 특이 콜라겐이 어떤 작용을 하는지는, 암세포에서 α1 유전자를 제거해 동형 3량체 콜라겐이 생기지 않게 만든 '노크 아웃'(knockout) 췌장암 생쥐 모델에서 드러났다.

 이처럼 암세포 특이 콜라겐의 생성이 막힌 생쥐는 대부분 암세포가 빠르게 늘지 않았다.

 종양 내 미생물 총의 면역 관여 프로그램이 다시 깔려, 암세포를 파괴하는 킬러 T세포가 늘고 PD1 면역관문 억제 치료에도 우호적인 반응을 보였다.

 암세포 특이 콜라겐은 소량만 생성되기 때문에, 반대의 상황을 만드는 '노크 아웃' 실험을 하지 않고는 어떤 작용을 하는지 확인하기 어렵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암세포 특이 콜라겐이 생성되지 않으면 종양 내 미생물 구성에 변화가 생겨, T세포가 늘고 면역 반응 억제 기능을 하는 '골수 유래 억제 세포'(MDSCs)는 줄었다.

 실제로는 T세포를 유도하는 EXCL 16 수위가 올라가고, MDSCs를 끌어들이는 EXCL 5 수위가 낮아졌다.

 당연히 이런 변화는 췌장암 생쥐의 장기 생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런데 항생제를 투여해 종양 내 미생물을 교란하면 금방 정반대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 항생제 시험은, 암세포 특이 콜라겐과 세포외 기질이 종양 촉진 미생물을 강하게 만들어 암의 진행을 부추긴다는 걸 시사한다.

 나쁜 암세포 콜라겐이 차단되면 기질 내 일반 콜라겐이 늘어 암의 진행이 억제된다는 것도 재차 확인됐다. 칼루리 박사팀은 선행 연구에서 이 부분을 먼저 발견했다.

 암세포 특이 콜라겐은 또 인테그린 αⅢ라는 단백질의 표면에 붙어 암세포 증식 신호 경로를 상향조율했다.

 생쥐 모델에서 이 단백질 발현을 차단하면 T세포의 종양 침투가 증가하고 생존 기간이 길어졌다.

 칼루리 교수는 "암세포를 빼면 인체 내의 어떤 세포도 이렇게 독특한 콜라겐을 만들지 못한다"라면서 "암 환자의 반응률을 개선하는, 매우 특정적인 치료 표적의 개발로 이어질 잠재력이 매우 크다"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