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만원대 운동화가 천만원에 거래되는 이유는?

 이 신발의 가격은 얼마일까요? 무려 1천만원!

 신발 한 켤레 가격이 왜이렇게 비싸냐고요? 다 이유가 있습니다.

 지난 19일 루이비통과 나이키가 협업해 만든 '에어포스1'이 출시됐습니다.

 출시 가격은 351만~439만원이었지만 현재 국내 리셀 시장에서는 1천만원이 넘는 가격에 판매되고 있죠.

 웃돈까지 얹어가며 해당 운동화를 수집하려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두 브랜드의 협업을 통해 최고급 가죽 및 소재로 제작됐고, 지난해 11월 사망한 루이비통 최초  흑인 수석 디자이너 '버질 아블로'의 유작이라는 희소성 때문입니다.

 앞서 지난 1월 버질 아블로가 만든 에어포스1이 자선 경매품으로 나왔습니다.

 200켤레는 모두 약 299억원에 팔렸고, 단 한 켤레만 생산된 5사이즈 운동화는 무려 4억6천여만원에 낙찰됐습니다.

 비싼 가격을 지불하고서라도 운동화를 수집하려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덩달아 리셀 시장도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SNS 내 리셀테크 관련 언급량은 2018년 1만5천247건에서 2020년 2만1천802건으로 43% 증가했는데요.

 리셀 서비스 업체 '크림'은 올해 1분기에만 3천700억원의 거래액을 기록했죠.

 신발 마니아로 알려진 산다라박과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도 한정판 운동화를 구하기 위해 리셀로 구매했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대체 왜 이렇게 많은 사람이 운동화를 수집하는 걸까요?

 이영애 인천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운동화는 체형에 상관없이 접근성과 활용성이 높고 한정판 운동화는 누구나 가질 수 없는 희귀아이템에 속한다"며 "SNS에 구매 인증을 올렸을 때 인정이나 관심 욕구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또 일종의 재태크 수단으로 운동화 수집에 열광하고 있다"며 "운동화는 MZ(1981∼2002년생)세대가 경제적인 이유와 더불어 경험을 소비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아이템"이라고 덧붙였죠.

 다만 과시적인 수집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교수는 "과시 소비 성향이 증가할 경우 비싼 물건에 광적으로 열광하게 될 수 있다"며 "특히 이런 소비가 만연하게 되면 청소년 사이에서 '고가브랜드가 좋은 제품'이라는 잘못된 소비 습관이 형성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죠.

 운동화 수집에 숨겨진 소비자의 심리. 흥미롭지 않으신가요?

 희소성도 좋지만 과도한 수집은 과소비를 불러일으킨다는 점, 잊지 마세요.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깜깜이' 병원평가…"'데이터 통합'으로 기준 바로 세워야"
A병원의 '의사 1인당 병상수'는 1.5명, B병원은 2.0명. 언뜻 B병원의 인력이 더 우수해 보이지만, 이는 착시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기관 평가 지표는 이름만 같을 뿐, 20개에 달하는 평가 제도마다 계산 방식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기준이 통일되지 않은 평가는 결국 국민이 내는 건강보험 재정이 진정으로 의료의 질이 높은 병원에 보상으로 가지 못하게 하는 '깜깜이 평가'라는 지적이 나왔다. 보건복지부 의뢰로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최근 수행한 '건강보험 성과보상 근거 마련을 위한 의료기관 평가체계 개편 기반 연구'보고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편화된 현재의 평가 방식을 버리고 '표준화된 원자료(raw data)'를 기반으로 한 통합 평가체계 구축을 시급한 과제로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국내 의료기관은 상급종합병원 지정, 의료 질 평가, 적정성 평가 등 20개의 각기 다른 평가를 받고 있으며, 여기에 사용되는 지표만 1천개가 넘는다. 이로 인해 병원들은 유사한 자료를 평가 기관마다 다른 양식으로 반복 제출해야 하는 행정 낭비에 시달리고 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평가 결과의 신뢰성이다. 보고서는 평가지표 이름이 동일하거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국립산림과학원 '산양삼 추출물, 근력개선 효과' 확인…특허출원
국내 대표적인 숲푸드인 산양삼 추출물이 근력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최근 특별관리 임산물인 산양삼에 대한 기능성 평가 연구를 수행한 결과 산양삼 추출물이 근력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산양삼 추출물을 활용해 근위축증과 근감소증 등 다양한 근육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 식의약 소재로서의 잠재적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수행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산양삼 추출물의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근육세포 생성을 촉진하고, 근위축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양삼은 철저한 생산관리를 통해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이 금지되며, 품질검사를 통과해 합격증을 받은 제품만 유통이 가능하다. 엄격한 관리 기준 덕분에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어 우리나라 대표 숲푸드로 주목받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특허를 출원했다. 앞으로 기술이전을 통해 산양삼 추출물의 산업화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희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장은 "그린 바이오산업 육성과 더불어 산양삼의 다양한 약리 효능을 밝혀 산업계와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