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로 인한 뇌 과부하 실시간 추적하는 전자 타투 개발"

美 연구팀 "항공관제사 등 집중력 저하로 인한 사고 예방 등 활용"

 뇌파 등을 측정해 업무로 인한 뇌 과부하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이마에 부착하는 형태의 무선 전자 타투(e-tattoo)가 개발됐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UT Austin) 난슈 루 교수팀은 30일 과학 저널 디바이스(Device)에서 부피가 큰 머리 장비 없이 이마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뇌파를 측정하고 해독해 정신적 부담을 측정하는 비영구적인 무선 전자 타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뇌파(EEG)와 안구전도(EOG)는 뇌 업무량 추정을 위한 유망한 생리적 지표지만, 기존 장치들은 부피가 크거나 착용에 제약이 있고 움직임에 취약해 실제 환경에서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뇌 활동과 안구 움직임의 전기 신호를 측정, 분석하기 위해 젤을 바르고 선이 늘어뜨려진 부피 큰 EEG 캡과 달리 가벼운 배터리 팩과 종이처럼 얇은 스티커형 센서로 구성된 무선 전자 타투를 개발했다.

 전자 타투는 폴리우레탄에 흑연을 증착해 전기가 흐르게 하고 그 위에 전도성 고분자(PEDOT:PSS)를 덧발라 전기 신호 전달이 잘 되는 전극(APC-GPU) 센서를 만든 다음 배터리로 작동되는 유연한 인쇄 회로를 덧붙여 제작했다.

 전자 타투는 얇고 부드러워 피부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며, EEG와 EOG 신호를 수집해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타투 구조와 뇌파 및 안구전도 측정 실험

 연구팀은 이어 실험 참가자 6명의 이마에 전자 타투를 부착한 다음, 난도가 점점 높아지는 기억력 테스트를 수행하면서 정신적 부담이 증가할 때 뇌파와 안구전도 신호 변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정신적 부담이 커짐에 따라 참가자들의 뇌파에서 세타파와 델타파 활동은 증가하고 알파파와 베타파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세타파와 델타파 증가는 정신적 부담이 커지면서 인지적 요구가 증가함을, 알파파와 세타파 감소는 정신적 피로가 증가함을 나타낸다며 이는 전자 타투가 뇌가 힘들어할 때를 감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또 전자 타투로 측정한 신호를 기반으로 정신적 부하를 추정하는 컴퓨터 모델을 만들어 훈련한 결과, 서로 다른 정신적 부하를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자 타투로 정신적 피로 를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루 교수는 "기술은 인간 진화보다 빠르게 발전하고, 뇌 능력은 이를 따라가지 못해 쉽게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며 "최적의 성과를 내기 위한 최적의 정신적 업무량은 사람마다 다르다"고 지적했다.

 논문 공동 교신저자인 루이스 센티스 교수는 "이제 그동안 추적할 수 없었던 정신적 부담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됐다"며 "이 전자 타투를 집에서도 착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 중 하나"라고 말했다.

 ◆ 출처 : Device, Nanshu Lu et al., 'A Wireless Forehead E-tattoo for Mental Workload Estimation', http://cell.com/device/fulltext/S2666-9986(25)00094-8.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인과 규명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심세훈 교수팀은 최근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요인과 뇌신경생리학적인 요인 간의 연관성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하려는 의도 없이 자기 신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심 교수는 원광대병원 윤성훈 교수(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51명과 자해 행동이 없는 청소년 50명의 뇌파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해 청소년은 특정 뇌 전극(nogo P3)의 뇌파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해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력이 손상되고, 주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사한다. 심 교수는 "뇌 전극의 이상은 심리학적으로 우울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연관이 깊다"며 "심리적 특성에 더해 뇌 우측 상부에 위치한 전두엽이랑에서 뇌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해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뇌 전극의 이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인지행동치료와 기분을 조절하는 약물치료가 동시해 시행되는 통합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억제 조절력을 강화하고, 우울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둔 맞춤형 치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