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변이 잡는 항체 발견...'부스터 샷' 필요 없는 날 올까?

오미크론 84∼92%, 델타 90∼97% 중화 효능
이스라엘 텔아비브 의대 연구진, '커뮤니케이션 바이올로지'에 논문

 코로나 팬데믹이 터진 지 만 3년이 다 돼 간다.

 하지만 감염증(코로나19)을 일으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아직 많은 부분을 베일 뒤에 감추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신종 코로나가 계속 변이한다는 것이다.

 현재의 우세 종인 오미크론 하위 변이체만 해도 백신과 항체 치료제가 잘 듣지 않는다.

 진화를 통해 중화 항체를 회피하는 능력이 생겼기 때문이다.

 백신 접종으로 형성된 항체는 3개월만 지나면 급격히 효능이 떨어진다. 3차 백신 접종자의 '돌파 감염'도 흔한 일이 됐다.

 이처럼 꽉 막힌 코로나 국면에 결정적 돌파구가 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미크론을 비롯한 모든 코로나 변이에 대해 강력한 중화 효능을 발휘하는 항체가 회복 환자의 혈장에서 발견됐다.

 이 발견이 항체 치료제 개발로 이어지면 계속 '부스터 샷'을 맞을 필요가 없을 거라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이스라엘 텔아비브 의대의 나탈리아 프로인트 미생물학 부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지난 5일(현지 시각) 저널 '커뮤니케이션 바이올로지'(Communications Biology)에 논문으로 실렸다.

 프로인트 교수팀은 코로나 위기가 한창 고조되던 2020년 10월에 예비 연구를 시작했다.

 코로나에 감염됐다가 회복한 환자의 혈액을 채취해 B세포의 염기 서열을 전부 분석했다.

 당시는 코로나 변이체가 나타나기 전이었다. 피험자는 모두 '원조' 신종 코로나(original COVID strain) 감염자였다.

 당시 분리한 9개의 항체 유형 가운데 2개가 오미크론, 델타 등 모든 코로나 변이를 높은 비율로 중화한다는 게 확인됐다.

 원조 신종 코로나의 감염으로 체내에 형성된 항체는 바이러스 입자의 여러 다른 지점을 표적으로 삼았다.

 하지만 가장 효능이 뛰어난 건 스파이크 단백질의 한 지점에 달라붙는 항체였다.

 이 지점은 숙주세포 표면의 ACE2 수용체와 결합하는 바로 그곳이었다.

 코로나 변이가 출현하기 이전엔 이런 항체를 기반으로 개발한 백신도 상당한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코로나 변이가 등장하면서 기존의 항체는 대부분 쓸모없는 것이 됐다.

 새로운 코로나 변이체라고 해서 몰라보게 변하는 건 아니다.

 스파이크 단백질의 ACE2 결합 지점에서 아미노산 염기서열 일부가 달라진 게 전부다.

 그런데도 새로운 변이가 나올 때마다 바이러스의 전파력은 대폭 강해졌다.

 이번에 찾아낸 두 항체(TAU-1109, TAU-2310) 유형도 스파이크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기는 마찬가지다.

 하지만 결합 지점은 기존의 다른 항체와 확연히 다르다.

 두 항체의 결합 사이트는 돌연변이를 많이 겪지 않은 곳이다. 이것이 중화 효능이 강해지는 데 도움이 된 듯하다.

 실험 결과, TAU-1109는 오미크론의 92%, 델타의 90%를 중화했다.

 TAU-2310의 중화 효능은 오미크론의 84%, 델타의 97%였다.

 이 발견은 향후 코로나19와의 싸움에 혁명을 몰고 올 수도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논문의 공동 교신저자를 맡은 프로인트 교수는 "효과적인 항체 치료제가 개발되면 새로운 변이체가 나타날 때마다 모든 사람이 백신을 맞을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