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틴, 난치성 전립선암 치료에 효과"

스타틴 계열의 고지혈증 치료제가 안드로겐 차단요법(ADT: androgen deprivation therapy)이 듣지 않아 암세포가 전이될 위험이 높은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CRP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안드로겐 차단요법은 전립선 암세포의 증식을 촉진할 수 있는 테스토스테론, 다이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같은 남성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치료법이다.

그러나 전립선암 환자는 최대 20%까지 안드로겐 차단요법에 저항성을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이라고 한다. 이런 형태의 전립선암은 현재는 치료가 매우 어렵다.

 

 영국 글래스고 대학 빗슨 암 연구소(BICR: Beatson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비뇨기과-종양외과 전문의 힝룽 교수 연구팀이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에게 안드로겐 차단요법과 병행해 매일 용량 40mg의 아토르바스타틴을 6주 동안 투여하고 전립선 특이항원(PSA: prostate-specific antigen)의 혈중 수치 변화를 추적했다.

 PSA는 전립선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로 수치가 높으면 전립선암이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전립선암이 아닌 전립선비대, 전립선염 등 다른 양성 질환인 경우에도 수치가 올라갈 수 있다.

 임상시험 참가자 중 이미 스타틴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는 한 사람도 없었다.

 임상시험 결과 12명 중 11명이 PSA 혈중 수치가 떨어지면서 1차 평가변수를 (primary endpoint)를 충족했다. 그 중 한 명은 PSA 수치가 50%나 떨어졌다.

 12명 중 6명은 스타틴 투여 후 PSA 증가 속도(PSA velocity)도 떨어졌다.

 이는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이 안정되고 있다는 증거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와 함께 12명 모두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도 낮아졌다.

 남성 호르몬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이용해 고환에서 만들어진다.

 이에 대해, 영국 전립선암 협회의 헤일리 럭스턴 박사는 스타틴이 전립선암의 증식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된다는 고무적인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논평했다.

 그러나 이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그는 덧붙였다.

 특히 전립선암의 표준 치료에 스타틴을 추가하는 타이밍이 어느 때가 가장 좋은지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그는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 비뇨기 외과 학회(British Association of Urological Surgeons) 학술지 BJU 인터내셔널(BJU International)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국가 희귀질환 등록사업 시행…"질환별 지원체계 강화"
질병관리청은 희귀질환 정보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국가 희귀질환 등록사업'을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17개 희귀질환 전문기관을 기반으로 국가 관리대상 희귀질환 1천314개의 발생·진단·치료 현황 등의 통계를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희귀질환 통계는 2020년부터 매년 연보 형식으로 공표돼 왔으나, 기존 통계는 건강보험 산정특례 등록자의 해당연도 정보만 반영해 전체 희귀질환자의 규모와 질환별 현황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번 사업 시행으로 희귀질환자 정보와 치료제, 유전자 검사 정보 등을 의료현장에서 직접 수집해 산정특례 정보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질환별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질병청은 다음 달 중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사업 설명회와 실무자 교육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등록사업 지침과 시스템 사용 매뉴얼은 질병청 희귀질환 헬프라인 누리집(www.helpline.kdc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향후 국내 희귀질환자를 전수 등록하기 위해 참여 의료기관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국가 통계를 생산해 질환별 맞춤형 지원체계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사회적 건강과 스트레스
필자는 지난 칼럼에서 스트레스 다스리기에 관해 강조한 바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그것이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추가로 더 자세히 언급하고자 한다. 대한민국은 현재 개인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건강'의 위기가 심각해 총체적 개선방안 모색이 시급하다. '나'만 있고 '우리'는 없는 사회로 가고 있어 그 과정에서 고립된 개인의 스트레스가 심화하고 있다. OECD 자살률 1위, 항생제 남용 1위, 낮은 행복지수 등 한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적 건강까지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과거 경제 제일주의에 근거해 초경쟁적으로 살아온 결과, 미세먼지, 화학물질 오남용(ex-가습기 살균제 사건), 분노조절장애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발생해 개인의 삶의 질을 저하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SNS의 과도한 사용은 이러한 문제점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다. 많은 정신분석학자는 SNS에서 사람들이 흔히 자신의 좋은 모습만 보여주는 경향이 있어 이를 접하는 사람들은 타인과 비교하며 자존감 하락과 스트레스, 우울증을 경험하기 쉽다고 경고한다. 특히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들에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진다. 필자는 SNS가 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