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용 마약류 '식욕억제제' 처방, 1천 배 늘어도 식약처 감사 안 해"

국민의힘 김미애 "과하게 처방하는 의료기관 점검 필요"

 의료용 마약류로 분류된 식욕 억제제를 평균보다 1천 배 이상 많이 처방하는 의료 기관이 있는데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감사를 하지 않고 있다고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이 5일 밝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인 김 의원이 식약처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동안 충청 지역 A 가정의원과 수도권 B 정신과 의원은 의료용 마약류 식욕 억제제를 한 해 평균 19만4천여 건, 25만6천여 건 처방했다.

 의료 기관 한 곳당 연평균 처방 건수가 약 249건인 점을 고려하면 B 의원의 처방 건수는 평균치보다 1천 배 이상 많은 것이다.

 A 의원 역시 평균치보다 약 780배 많았다.

 두 의원의 한 해 평균 처방량은 각각 약 1천만 정, 700만 정으로, 이를 더하면 지난 3년간 국내 전체 처방량의 연평균 값(약 2억5천만 정)의 약 7%에 해당한다. 의료용 마약류 식욕 억제제를 처방한 전체 의료 기관은 연평균 약 2만4천여 곳이다.

 두 의원의 처방 환자 수 또한 평균을 넘어섰다.

 A 의원은 3년 동안 연평균 3만3천여 명의 환자에게 의료용 마약류 식욕 억제제를 처방했다. B 의원도 2만3천여 명에게 처방했다.

 의료 기관 한 곳당 연평균 처방 환자 수는 약 53명이어서, A 의원은 이보다 600배 이상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식욕 억제제 성분인 펜터민과 펜디메트라진, 암페프라몬, 마진돌은 식욕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의존성이나 내성 발생 위험이 있어 식약처는 마약류로 분류해 취급을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김 의원에 따르면 식약처는 두 의원에 대한 현장 실사나 지도·감독을 시행한 적이 없다.

 이는 식약처가 지난 4월 제정한 '마약류의 오남용 방지를 위한 조치기준 제정고시'에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다량의 식욕 억제제를 처방하는 의료 기관에 대한 현장 감시를 규정한 내용이 없기 때문이라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고시에는 식욕 억제제의 처방·투약이 3개월을 초과한 경우, 2종 이상의 식욕 억제제를 병용한 경우, 청소년·어린이에게 투여한 경우에만 현장 감시 같은 식약처 조치가 이뤄진다고 명시돼 있다.

 김 의원은 "마약류 식욕 억제제가 '의료 쇼핑 의약품'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식약처가 단순히 환자 1인당 처방량 같은 소극적인 방지 기준이나 단속 기준을 정할 것이 아니라, 과하게 많이 처방되고 있는 의료 현장을 더 확인하고 점검하는 적극적인 행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돌아온다는 인턴도 없다…사직자 대상 상반기 모집 지원 '미미'
의정갈등이 일 년 가까이 이어지는 가운데 사직 레지던트에 이어 인턴을 대상으로 진행된 상반기 전공의 모집도 저조한 지원 속에 마감됐다. 4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국 221개 수련병원이 지난해 사직한 인턴 임용포기자 2천967명을 대상으로 전날부터 이날 오후 5시까지 오는 3월 수련을 재개할 상반기 인턴 모집을 실시했으나 지원자가 극소수에 그쳤다.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이상 가나다순) 등 서울의 주요 상급종합병원인 이른바 '빅5' 병원도 대부분 지원자가 한 자릿수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내 주요 수련병원 중 한 곳은 전날까지 지원자가 전무했다가, 이날 막판에 2명이 마음을 돌려 원서를 접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빅5 병원 관계자는 "대부분의 병원이 그렇듯 레지던트에 이어 인턴들도 복귀하지 않겠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다른 수련병원 관계자들도 "복귀하겠다는 인턴들도 없고, 상황이 좋지 않은 게 사실"이라거나, 지원 규모에 대해 "의미 없는 숫자"라고 전했다. 이번 모집은 지난해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사직한 인턴을 대상으로 진행된 것으로, 올해 의사 국가시험(국시) 합격자를 대상으로 하는 일반 인턴 모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