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욕억제제, 남성보다 여성이 더 효과"

 식욕 억제제는 여성이 남성보다 큰 효과를 가져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시드니 대학 로열 프린스 알프레드 병원(Royal Prince Alfred Hospital) 내분비 내과 전문의 서맨서 호킹 박사 연구팀이 총 1만6천428명이 대상이 된 3편의 관련 연구논문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영국의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최근 보도했다.

 전체적으로 과체중이거나 비만한 사람이 같은 식욕 억제제를 복용했을 때 여성이 남성보다 체중이 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같은 식욕 억제제를 복용했는데도 여성은 체중이 약 20% 줄어드는 데 비해 남성은 13% 감소했다는 것이다.

 첫 번째 연구는 과체중 남녀 1천961명을 대상으로 68주에 걸쳐 진행됐다.

 이들에게는 인체의 식욕 조절 시스템에 작용해 배고픔과 칼로리 섭취를 줄이게 만드는 주사제 세마글루티드(semaglutide) 2.4mg 또는 위약(placebo)을 투여했다.

 그 결과 세마글루티드 그룹은 체중이 16.9%, 대조군은 2.4% 줄었다.

 남녀를 구분했을 때 세마글루티드 그룹의 경우 여성은 체중이 18.4%, 남성은 12.9% 각각 줄어 여성이 남성보다 체중이 30% 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에는 과체중 또는 비만 남녀 3천723명이 참가했다.

 이들에게는 식욕을 억제하는 또 다른 주사제 리라글루티드(liraglutide) 3mg 또는 위약이 56주 동안 투여됐다.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리라글루티드 그룹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체중이 더 많이 줄어들었다.

 3번째 연구에는 55세 이상의 과체중 또는 비만 남녀 1만744명이 참가했다. 이들은 2형 당뇨병 또는 심혈관 질환이 있었다.

 이들에게는 식욕 억제제 시부트라민(sibutramine) 또는 위약이 투여됐다.

 1년 후 시부트라민 그룹은 체중이 평균 4.5%, 대조군은 2% 줄었다.

 남녀를 구분했을 때 시부트라민 그룹 여성은 체중이 5.2%, 남성은 4% 줄었다.

 그러나 약물이 아닌 다이어트와 운동 요법으로 체중을 빼는 경우에는 반대로 남성이 여성보다 체중 감소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다이어트와 운동의 체중 감소 효과를 다룬 연구논문 11편의 자료를 종합 분석했다.

 그 결과 11편의 연구논문 중 10편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체중이 더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도 체중이 '상당히' 줄었다. 이는 체중을 빼려면 다이어트와 운동이 효과적인 방법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식욕 억제제가 여성에게 효과가 큰 것은 약동학(pharmacokinetics) 때문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추측했다.

 약동학이란 약물의 흡수, 분포, 생체 내 변화 및 배설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다시 말해 남성과 여성 간의 생리학적 차이로 약물이 체내에서 흡수, 처리, 배설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에 대해 영국 리버풀 대학 의대의 존 와일딩 비만 연구실장은 약물 치료 효과가 여성에게 더 크게 나타나는 한 가지 이유는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체중이 가볍기 때문일 수 있다고 논평했다.

 남성과 여성에 똑 같은 용량의 약물을 투여했을 때는 여성이 체중에 비례해 약간 더 강한 용량을 받은 셈이 되기 때문에 약물에 대해 더 강한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호주 멜버른에서 열린 국제 비만 학술회의(International Congress on Obesity)에서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공부 잘하는 약으로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 오남용, 생명 위협도"
모든 약물은 오남용을 유의해야 하지만 학구열 강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주의를 요구하는 약이 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치료제로 잘 알려진 '메틸페니데이트'가 그것이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집중력을 조절하는 노르에피네프린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의료용 마약류(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한다. 화학식은 C14H19NO2다. 6세 이상 소아 및 청소년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등 증상을 나타내는 정신과 질환인 ADHD 치료 등에 활용된다. 복용 시 도파민 등 수치를 높여줘 집중력, 업무 수행 능력 등을 일시적으로 향상하기 때문에 '공부 잘하는 약'으로도 와전돼 있다. 하지만, 이 약을 오남용할 경우 두통, 불면증, 식욕 감소 등 부작용은 물론 심각한 경우 환각, 망상, 자살 시도까지 나타날 수 있다. 또,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사용할 경우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호주 멜버른 대학 신경과 전문의 엘리자베스 바우먼 교수 연구팀은 ADHD 환자가 아닌 사람이 메틸페니데이트 등을 사용하면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욕은 높아질 수 있어도 막상 작업 생산성은 감소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