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줄었지만 감기 늘어"…감기약 매출 하반기에도 호조

동아·JW중외·대웅 등 주요 '감기 증상완화제' 매출 계속 상승
"마스크 의무화로 감기환자 줄었다가 해제하며 반등…트윈데믹 경고 효과도"

 국내 주요 감기약이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높은 매출을 이어가고 있다.

 14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주요 제약사 감기 증상 완화제들의 3분기 매출이 지난해 동기보다 크게 늘었다. 코로나19가 대유행하던 올해 상반기보다 더 높은 매출을 보인 제품도 있다.

 동아제약의 종합 감기 증상완화제 '판피린'은 3분기에 137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45.9% 늘어난 금액이자,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훨씬 많았던 1·2분기 매출액에 비해 약 10억 원 증가했다.

 어린이해열제 '챔프'도 작년 동기 대비 231.6% 증가한 38억 원을 기록했다. 1분기에 24억 원을 기록하고 2분기에 38억 원까지 증가한 매출이 3분기까지 이어진 것이다.

  JW중외제약도 호흡기 질환 환자가 다시 늘어나면서 종합 감기 증상완화제 '화콜'의 3분기 매출이 6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화콜은 지난해 1분기 2억 원, 2, 3분기 각 1억 원의 매출을 냈지만, 올해 들어서는 3분기 연속 6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대웅제약[069620]의 해열진통제 이지엔6도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55% 성장했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이지엔6 매출이 상반기부터 상승세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감기 증상 완화제 매출이 증가한 것은 야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로 아무래도 산술적으로 감기 환자가 늘었기 때문일 것으로 업계는 추정했다. 아울러 정부가 올해 가을부터 코로나19와 감기가 동시에 유행하는 '트윈데믹'이 올 가능성을 경고한 점도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됐다.

 업계 관계자는 "3분기에 코로나19 환자가 많이 줄었지만, 야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면서 감기와 독감 환자가 늘어 감기약 매출이 유지됐다"며 "12월 코로나19 재유행이 예상되는 만큼 4분기 매출도 줄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올해 감기약 매출이 늘어난 건 작년과 재작년 마스크 의무화 정책으로 감기 환자가 줄면서 매출이 적었던 것에 대한 기저효과도 있다"면서 "정부가 가을에 트윈데믹이 올 거라고 발표함에 따라 미리 감기약을 구매하려는 심리도 매출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민참여의료혁신위 11월 출범…"수요자 참여로 필수의료 강화"
의료 서비스 수요자인 국민들의 참여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국민 참여 의료혁신위원회'가 오는 11월께 출범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국무총리 직속으로 혁신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혁신위는 민간위원을 포함한 30인 이내의 본위원회와 전문가 중심의 전문위원회, 의료혁신추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본위원회의 민간위원으로 환자, 소비자, 청년, 노동조합, 사용자, 언론 등 다양한 국민이 수요자로서 참여하게 하되, 보건의료 전문가 등 공급자와의 균형을 맞출 계획이다. 또 혁신위 안에 '의료 혁신 시민 패널'을 만들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과제에 대한 권고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민 누구나 정책을 제안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국민 참여 플랫폼도 운영한다. 혁신위와 시민 패널의 논의 과정·결과는 온라인 중계, 속기록 공개 등을 통해 공개한다. 정부는 소아·분만 등 의료 공백, 응급실 미수용 등 여러 국민이 현재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의 의료 개혁이 의료 인력·전달체계, 보상체계 등 공급 측면의 중장기 구조 개혁이었다면 앞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과제에 집중하려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