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약 메트포르민, 코로나19 중증 예방"

  2형 당뇨병 표준 치료제인 메트포르민(metformin)이 코로나19 감염 환자가 중증으로 악화하거나 사망할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미네소타 대학 의대 노인의학 전문의 캐롤라인 브라맨티 교수 연구팀이 36개 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 감염 치료를 받은 2형 당뇨병 환자 6천626명(평균연령 60.7세, 남성 48.7%, 백인 56.7%, 흑인 21.9%, 아시아계 3.5%, 라틴계 16.7%)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이들 중 14.5%가 입원 치료를 받았다. 그중 1.5%는 기계 환기(mechanical ventilation) 치료를 받았고 1.8%는 사망했다.

 연구팀은 이들이 복용하고 있던 당뇨약(메트포르민, DPP-4 억제제, 설포닐우레아)이 코로나19 치료 결과와 연관이 있는지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메트포르민을 복용한 환자들은 설포닐우레아를 복용한 환자들보다 기계 환기 치료율이 50%, 사망률이 44%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DPP-4 억제제를 복용한 환자들과 비교했을 때는 기계 환기 치료율이 32%, 사망률이 18% 낮았다.

 메트포르민은 코로나19 감염 초기에 일찍 투여할수록 중증 악화 예방 효과가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염 증상이 나타나기 4일 이전에 투여했을 때 병원 응급실 이송, 입원, 사망 위험 감소 효과가 가장 컸다.

 메트포르민은 시험관 실험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러한 효과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세포 밖에서 새로이 증식할 때 이용하는 MTOR 단백질을 차단하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국립 전염병 재단(National Foundation for Infectious Diseases) 의료 실장 윌리엄 샤프너 박사는 메트포르민이 항염증 작용을 하는 것은 확실하다면서 코로나19가 체내 곳곳에서 일으키는 염증반응을 억제한다면 증상이 중증으로 악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논평했다.

 메트포르민은 1994년 당뇨병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값싼 약이기 때문에 고위험 코로나19 환자들에게 적응증외(off-level)로 투여하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고 그는 말했다.

 메트포르민은 간(肝)의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고 세포의 인슐린 민감성을 높여 혈당을 내리게 하는 약이다.

 그러나 메트포르민은 항바이러스, 항염증 효과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2010년대에 나오면서 지카(Zika)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등 다른 바이러스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들이 시작됐다.

 또 메트포르민은 코로나19 감염 초기에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에게 투여하면 입원 위험이 40% 이상, 사망 위험이 50% 이상 줄어든다는 임상시험 결과도 발표된 일이 있다.

 이 연구 논문은 온라인 과학 전문지 '공공 과학 도서관'(PLoS One) 최신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3천명 중 1명' 선천성 척추이분증 원인 국내 연구팀 밝혀
국내 연구팀이 신생아 3천명 중 1명꼴로 발생하는 희귀질환인 '척추이분증'의 원인을 밝히는 데 성공했다. 특정 유전자가 아닌 여러 유전자가 관여해 기능적 이상을 일으키는 게 원인임을 확인한 것으로, 원인이 복잡한 선천성 질환의 새 예방법을 확인하고 관련 기법은 복합질환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김상우 연세대 의대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척추이분증의 원인을 유전적으로 규명한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실렸다고 최근 밝혔다. 척추이분증은 임신 중 태아의 신경관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생기는 선천성 희귀질환이다. 증상이 심한 경우 태어날 때부터 신경조직이 밖으로 나오는 척수 수막류가 나타나 긴급 수술이 필요하고, 보행장애, 감각 이상 등 심각한 증상을 동반해 평생 돌봄을 받아야 하는 질환이기도 하다. 환경 측면으로는 산모가 엽산으로 불리는 비타민B9 섭취를 제대로 못 했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엽산을 공급해도 여전히 많은 아이가 척추이분증을 갖고 태어나 유전적 원인도 있을 것으로 추정돼 왔다. 하지만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병에 영향을 주는 보통의 유전 질환과 달리 핵심 유전자가 동물에게서는 발견됐지만,

메디칼산업

더보기
햇빛만 쐬어도 99.8% 소독…국내 연구팀, 친환경 마스크 개발
국내 연구진이 반도체에 쓰이는 탄소나노튜브로 햇빛만 쐬어도 99.8% 바이러스가 제거되는 친환경 마스크를 개발했다. 부산대학교는 나노에너지공학과 이형우 교수 연구팀이 성균관대, 고려대와 협력해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롤 표면에 소재를 코팅하는 롤투롤(Roll-to-Roll) 공정으로 제작된 탄소나노튜브(CNT) 기반 친환경 마스크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코로나19를 계기로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됐지만, 기존 일회용 마스크는 플라스틱 폐기물과 같은 환경문제와 1회 사용 후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신형 마스크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탄소나노튜브와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결합할 수 있고 1만 회 이상의 굽힘 시험 후에도 특성이 변하지 않는 높은 내구성을 갖춰 기존 마스크의 단점을 보완했다고 설명했다. 수직 배열 탄소나노튜브 정렬 구조로 마스크 내부의 습기 관리가 가능하고 태양광 또는 전기적 가열로 바이러스를 99.8% 제거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이형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환경친화적이고 재사용이 가능한 고성능 마스크를 개발했으며, 향후 실용화를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최근 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