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23일 조간)

▲ 경향신문 = 검, 이재명에 28일 소환 통보 이 대표 "정적 제거 힘쓸 땐가"

▲ 국민일보 = 깜깜회계 이어 채용비리…정부, 거대노조와 전면전

▲ 매일일보 = "내년 금융위기 온다" 곳곳서 경고음

▲ 서울신문 = '법인세 1%P 인하' 예산안 지각 합의

▲ 세계일보 = 법인세 전 구간 1%P↓ 여야 예산안 지각 합의

▲ 아시아투데이 = 바이든·젤렌스키 정상회담…美, 2조원 규모 군사 지원

▲ 일간투데이 = 금감원-중기부 손잡고 '中企 성장 지원' 강화

▲ 조선일보 = 법인세 1%p 내리고, 금투세 2년 유예

▲ 중앙일보 = 요즘 한국기업은 '조용한 해고' 중

▲ 한겨레 = 예산안 막판 합의…법인세 1%p씩 인하

▲ 한국일보 = '성남FC 의혹' 소환…이재명 직접 겨눈 검

▲ 대한경제 = 다시 타오르는 '문레이스' K건설, 달에 깃발 꽂는다

▲ 디지털타임스 = 법인세 1%P 인하·금투세 2년 유예 합의

▲ 매일경제 = 與野, 예산안 늑장 합의 법인세 1%P 일괄 인하

▲ 브릿지경제 = 온통 경고등 건설업계 "새해 퍼펙트스톰 온다"

▲ 서울경제 = 중도금 금리마저 10%…청약시장 멈춘다

▲ 아시아타임즈 = 경영계의 읍소 "중처법 50인 미만 중기에 가혹"

▲ 아주경제 = 여야 예산안 합의 오늘 본회의 처리

▲ 에너지경제 = 韓기업, EU 탄소국경세 대응 '발등의 불'

▲ 울산경제 = '산업수도 울산'이 어쩌다…신생기업 무덤 전락

▲ 이데일리 = 돈줄 막힌 기업들…부실채권 시장 판커진다

▲ 이투데이 = "예산 4.6兆 감액…법인세 1%p 인하·금투세 2년 유예"

▲ 전자신문 = '메모리 한파' 현실로 마이크론 '적자 전환'

▲ 파이낸셜뉴스 = 예산 4조6천억 감액…법인세 1%p 인하

▲ 한국경제 = 여야, 예산안 타결 법인세 1%P 인하

▲ 전국매일 = 이재명 '사법 리스크' 현실화

▲ 경기신문 = "말 바꾸는 수원시의회 정말 실망"…'참여예산' 삭감에 주민들 한숨

▲ 경기일보 = "따뜻한 크리스마스 만들어요"

▲ 경인일보 = 목욕탕도 '1만원 시대'…얇아진 지갑, 서민들 떨고 있다

▲ 기호일보 = 소래습지 국가공원화 불통행정 있었다

▲ 신아일보 = 檢, 이재명 28일 소환 통보…李 "내가 그리 무섭나"

▲ 인천일보 = 인천 - 호놀룰루 시정부 만남 "재외동포청 유치 함께해주길"

▲ 일간경기 = 윤 대통령 "중앙-지방 힘 합치자"

▲ 중부일보 = 파리바게뜨 '크리스마스 악몽'

▲ 현대일보 = "'청라 시티타워' 건설 또 해넘기나…"

▲ 강원도민일보 = '자치분권 및 균형발전 특별법' 여야 정쟁에 뒷전

▲ 강원일보 = GRDP까지 전국 최하위…강원경제 '비상'

▲ 경남도민신문 = 거가대교 통행료 내년부터 휴일 20% 할인

▲ 경남도민일보 = 거가대로 소·중형차 휴일 통행료 새해부터 인하

▲ 경남매일 = 거가대교 통행료 휴일 20% 낮춘다

▲ 경남신문 = 내년부터 거가대로 '휴일 통행료' 할인

▲ 경남일보 = 지역 탄소중립 함께 합시다

▲ 경북매일 = 여야, 예산안·세법 일괄 합의…오늘 처리

▲ 경북일보 = 고삐 풀린 공공요금, 내년에 더 오른다

▲ 경상일보 = 울산 여천천 2700억 들여 대변신

▲ 국제신문 = 금감원장 한 마디에…BNK 회장 후보 솎아내기?

▲ 대경일보 = 포항·대구·울산 아파트 값 뚝뚝 떨어진다

▲ 대구신문 = 내년 예산안·세법 합의…오늘 본회의서 처리

▲ 대구일보 = "봉무동, 맹꽁이 산란지 맞다" 엑스코선 차량기지 어쩌나

▲ 매일신문 = 자유민주주의 수호의 성지, 국가 성역화해야

▲ 부산일보 = "부산은 아동 수출 전진기지였다"

▲ 영남일보 = 예산안 합의…오늘 본회의 처리

▲ 울산매일 = 정부 캠퍼스 혁신파크사업, 울산에는 '그림의 떡'

▲ 울산신문 = 현대重, 2025년까지 수소 엔진 선박 시대 연다

▲ 울산제일일보 = 市 산하 공공기관장 물갈이 '급물살'

▲ 창원일보 = 경남 개인소득 '전국 꼴찌'

▲ 광남일보 = 눈 내리는 거리

▲ 광주매일 = 차도 사람도 '엉금엉금'

▲ 광주일보 = 폭설·한파에 갇혀 '雪·雪·雪…'

▲ 남도일보 = 얼어버린 광주 '사랑의 온도탑'…"온정 절실"

▲ 전남매일 = 내일까지 '눈 폭탄'…하늘·바닷길 통제

▲ 전라일보 = 25cm 눈폭탄 쏟아지고 매서운 동지한파 덮쳤다

▲ 전북도민일보 = '통계 데이터센터' 전주에 들어선다

▲ 전북일보 = 전북도·삼성전자 손잡고 전국 최초 제조혁신 시동

▲ 금강일보 = 한파에 전력수요 늘어나는데…

▲ 대전일보 = 대전 주택시장 '미분양 공포' 확산

▲ 동양일보 = 충북 11월 수출, 성장세 전환

▲ 중도일보 = 코로나로 단축된 은행 영업시간…복귀 언제쯤?

▲ 중부매일 = 의료불균형 해소하려면 상급병원 건립이 대안

▲ 충남일보 = "내포신도시 종합병원 2026년 개원"

▲ 충청신문 = 눈 내리는 동짓날

▲ 충청일보 = 충북 '레이크파크' 날개 달다

▲ 충청투데이 = 이장우가 쏘아올린 '실내 마스크 해제'…현실화 되나

▲ 뉴제주일보 = 눈길에 미끄러져 '쾅쾅' 하늘길·바닷길도 '꽁꽁'

▲ 제민일보 = 겨울철 도민 안전 위한 제설함 관리 미흡

▲ 제주매일 = 제주 올 겨울 최강 한파에 사랑의 온도탑 '꽁꽁'

▲ 제주신문 = 제주지역 경제 성장률 '암울한 성적표'

▲ 제주일보 = 또 제주에 눈폭탄…발 묶인 섬

▲ 한라일보 = 해묵은 주요 현안 줄줄이 내년으로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빵 먹고 혈당 160↑"…'혈당 스파이크' 오해와 진실
"식사 후 혈당이 160㎎/dL까지 올랐는데 괜찮은 걸까요?", "빵만 먹으면 혈당이 급등해요. 당뇨병일까요?".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혈당 변동성)가 요즘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몸에 부착한 연속혈당측정기(CGMs)를 활용해 스마트폰 앱으로 식후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조차 혈당 스파이크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SNS), 블로그, 유튜브 등에는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부착하고, 혈당 스파이크를 조절해 체중 감량을 시도했다는 사례들이 공유돼 있다. 하지만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혈당 스파이크에 지나치게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혈당 스파이크에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지나친 식이 제한이나 불안에 빠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상만 교수는 "혈당 스파이크는 의학 용어도 아니고, 아직 정확한 기준도 없다"며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식후 일시적인 혈당 스파이크만으로 심각한 문제를 걱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