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83% "공공의대 설립 찬성"…63% "병원 인력 부족"

보건의료노조 여론조사…"공공의대 설립 미뤄선 안돼"

 새 정부 보건의료 공약 중 하나인 공공의대 설립에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여론조사기관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지난 1∼2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1천10명을 대상으로 새 정부 정책과제 등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7일 결과를 발표했다.

 '지역 필수의료 확보와 감염병 대응을 위해 정부가 공공병원 의사 인력 부족과 재정 적자를 책임져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83.1%가 찬성 입장을 밝혔다.

 간병비 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 확대에도 81.8%가 찬성했다.

 아울러 응답자들은 '병원 인력 수가 충분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63.4%가 '부족하다'고 답했고, 89.2%는 이 같은 인력 부족이 '환자 안전과 의료서비스 질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데 공감했다.

 직종별로 적정 인력 기준을 법적으로 의무화해야 한다는 주장에는 84.6%가 동의했다.

 병원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기 우선 수행해야 할 역할로는 '지역간 의료인력 불균형 해소'(39.5%), '의대 정원 확대 등 의사 인력 증원'(36.3%), '간호사, 간호조무사, 의료기사 등 의료진의 근무 환경 및 처우 개선'(21.5%) 등이 꼽혔다.

 보건의료노조는 "압도적 다수의 국민이 찬성한 만큼 새 정부는 더 이상 미루거나 주저앉지 말고 공공의대 설립을 성공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공공의료와 보건 인력확충 등을 위해 지난 2021년 노조와 정부가 맺었던 '9·2 노정 합의'의 이행을 촉구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이런말저런글] 심부전, 심장기능상실, 심장기능결함
심부전(心不全)이 뭐냐는 질문을 며칠 전에 받았습니다. 짚이는 게 있었지만 자신이 없어서 대답하지 못했습니다. 나중에 한자를 확인하고서야 감이 분명해졌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심장기능상실의 전(前) 의학용어라며 뜻을 전합니다. '심장의 수축 운동이 비정상적이어서 신체의 각 부위로 피를 충분히 보내지 못하는 병적인 상태. 호흡 곤란, 부기 따위의 증상이 나타난다.'라고요. 두 낱말이 같은 의미의 신, 구 용어라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어려운데다 정확하지도 않은 것 같아서입니다. 하지만 국어사전에서와 달리 의학용어위원회의 의학용어사전에서는 심장기능상실이 검색되지 않았습니다. 그나마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요? 심장이 기능을 잃으면 목숨도 잃는 것 아니냐고 사람들은 생각할 가능성이 제법 큽니다. 심장기능결함, 심장기능미흡, 심장기능부실, 심장기능불완전, 심장기능비정상, 심장기능부족, 심장기능모자람, 심장기능약함 같은 말뜻과 말맛이어야 하기에 상실은 지나쳤다고 판단합니다. 영어 단어(cardiac failure/heart failure)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생긴 일이라고 나름대로 진단해보기도 했고요. 전문용어가 어려운 것은 불가피합니다. 어느 정도는요. 하지만 어느 정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