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치료제 '가드렛', 기존 혈당강하제보다 효과적"

 JW중외제약은 기존 인슐린 분비 호르몬 분해효소(DPP-4)를 억제하는 당뇨병 치료제로는 혈당 조절이 불충분한 환자에게 자사 당뇨 치료제 '가드렛'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가드렛은 아나글립틴을 주성분으로 하는 DPP-4 억제제로, 2형 당뇨병 환자에게 쓰인다.

 연구팀은 가드렛이 아닌 기존 DPP-4 억제제를 8주 이상 단독 또는 병용해서 복용 중인 2형 당뇨병 환자 중 당화혈색소 수치가 7% 이상인 1천119명을 대상으로 가드렛을 투여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전환 복용 12주 차에 당화혈색소 수치가 복용 전보다 0.4% 낮아졌고 24주 차에는 0.42%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혈압, 협심증 등 동반 질환이 없는 환자군에서 당화혈색소 수치가 12주 차에 0.68%, 24주 차에 0.89%로 유의하게 개선됐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같은 집단에서 당화혈색소 수치가 7% 미만으로 낮아진 비율은 70%였다.

 연구팀은 "특히 동반 질환이 없는 환자에게 다른 경구 혈당강하제를 추가하기 전에 가드렛을 교체 투여하는 것이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최근 국제학술지 '당뇨병 치료(Diabetes Therapy)'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복지부, 新의료기기 '시장 즉시 진입' 기준·절차 마련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은 새로운 의료기기가 곧바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시장 즉시 진입 의료기술' 제도 도입을 앞두고 정부가 그 기준과 신청 절차 등을 마련했다. 보건복지부는 별도의 신의료기술평가 없이 시장에 즉시 진입할 수 있는 의료기기 대상과 신청 절차 등이 담긴 '신의료기술평가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안을 최근 입법 예고했다. 신의료기술평가는 새로운 의료기술이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절차다. 안전성·유효성을 검증받은 뒤 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신설, 올 하반기에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입법예고된 개정안에서는 해당 제도의 대상과 신청 절차를 규정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국제적 수준의 임상 평가를 거친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의료기술은 시장에 즉시 진입할 수 있는 대상이 된다. 식약처의 의료기기 허가 단계에서 복지부와의 협의를 거쳐 새로운 의료기기 품목으로도 공고된다. 신의료기술평가 유예를 원하는 기업 등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이미 등재된 의료기술인지를 확인해달라고 신청하고,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즉시 시장에 사용 가능케 한다는 내용도 개정안에 담겼다. 해당 의료기기가 비급여로 시장에 진입한 후에도 환자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