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 길병원, 해상도 1만배 높인 MRI 통합시스템 구축

 병원에서 진단용으로 사용하는 자기공명영상장치(MRI)보다 해상도가 1만배 이상 선명한 MRI 장비가 국내에 도입됐다.

 가천대 길병원은 11.74T(테슬라) MRI 통합시스템 설치를 완료하고 오는 3월 전임상시험(동물시험)에 나설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길병원은 지난해 3월 MRI 시스템의 핵심 부품인 마그넷의 현장 성능평가를 마친 이후 11월까지 11.74T MRI 통합 시스템 설치를 모두 완료했다.

 11.74T MRI는 일반 병원에서 흔히 사용되는 3T MRI보다 평면 해상도가 1만배 이상 선명해 뇌 속을 들여다보는 데 최적화된 장비라는 평가를 받는다.

 길병원은 전임상시험에서 극초고해상도 이미지가 나올 경우 세계 최초로 11.74T MRI로 살아있는 동물의 뇌 이미지를 얻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미국은 미국국립보건원(NIH) 주도로 11.7T MRI 시스템을 먼저 설치했으나 이미지를 얻지 못했다. 프랑스 국립 연구소인 뉴로스핀에서는 11.72T MRI 시스템에서 동물이 아닌 식물(호박)을 대상으로 이미지를 획득한 상태다.

 김우경 가천대 길병원장은 "11.74T MRI 개발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다면 인류가 풀지 못한 뇌의 비밀을 푸는 데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