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루엔자(독감) 환자 한달새 감소세…겨울 장염·식중독은 증가

1월말 독감 의심환자 외래 1천명당 25.6명…유행 기준 5배 이상

 인플루엔자(독감) 환자 수가 최근 한달새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겨울 유행 정점은 꺾였으나 환자 수가 유행 기준보다는 훨씬 높은 수준이라 여전히 주의가 필요하다.

 2일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표본감시 주간소식지'에 따르면 지난달 22일∼28일(2023년도 4주차) 외래 환자 1천명당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분율(의사환자 분율·ILI)은 25.6명으로, 전주(28.3명)보다 9.5% 줄었다.

 인플루엔자 의심환자 분율은 지난해 마지막 주 60.7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올해 들어 52.5명→40.2명→28.3명→25.6명으로 감소 추세다.

 유행세가 전보다 덜하지만, 이번 절기 유행 기준(4.9명)의 5배 이상 수준으로 높다.

 인플루엔자 유행은 특히 소아(7∼12세) 연령대에서 가장 심하다. 소아 의사환자 분율은 42.9명이다.

 19세∼49세도 36.7명으로 소아 연령대 다음으로 유행 정도가 높다.

 질병청은 전국 196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감시 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38도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기침 또는 인후통을 보이는 사람을 의사환자로 분류한다.

 한편 올해 4주차에 설사를 유발하는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등 바이러스성 장관감염증 환자는 313명으로 전주(290명)보다 7.9% 늘었다.

 노로바이러스 환자는 전주 239명에서 254명으로,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 환자는 26명에서 36명으로 각각 증가했다.

 바이러스성 장관감염증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손을 깨끗이 씻고, 음식은 충분히 익히거나 세척하며, 물은 끓여 마시는 등의 위생 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장 내 승모판 역류증, 성별 따라 수술 시점 달라져야"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은 노화로 인해 심장의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입구에 위치한 승모판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심장 판막 질환이다. 역류 현상이 지속되면 심장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질환 발생 초기부터 사망 위험이 더 높아 성별에 따라 수술 시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김대희 교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곽순구·이승표 교수 연구팀은 2006∼2020년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으로 수술받은 환자 1천686명을 8년간 추적 관찰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현재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의 표준 치료는 판막 성형술이나 인공 판막치환술과 같은 수술이다. 수술은 좌심실에 들어온 혈액이 대동맥으로 빠져나간 비율을 뜻하는 '좌심실 박출률'을 토대로 좌심실 기능 저하 여부를 판단해 결정한다. 환자에게 뚜렷한 증상이 없더라도 좌심실 박출률이 60% 이하이면 수술을 고려하도록 권고된다. 연구팀이 성별에 따른 좌심실 기능과 사망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좌심실 박출률이 55% 이하로 떨어졌을 때만 사망률이 유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