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만 아는 임상약어 쉽게 풀어줘요"…구글 해독모델 개발

"일반인 의학 약어 이해도가 30% 미만 → 75%로 증가"

 'pt referred pt for lbp'

 의사들의 의료 기록에 종종 쓰이는 속기와 약어다. 풀어 쓰면 'Patient referred to physical therapy for low back pain'(허리 통증으로 물리 치료를 의뢰한 환자)이지만 일반 환자 입장에서는 쉽게 알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최근 일반인도 의사의 임상 기록을 포함한 의료 기록에 디지털로 접근할 수 있는 경우가 늘면서 환자들도 의료 약어를 쉽게 이해할 필요성이 생겨났고 그러한 기술도 개발됐다.

 과학자 알빈 라지코마르와 구글 리서치의 에릭 로로 스포트웨어 엔지니어가 구글 블로그에 올린 '개인정보 보호 ML(머신 러닝)'로 임상 약어 해독'에 따르면 구글은 최근 수천 개의 임상 약어와 확장어 사전을 참조해 의학 약어를 변환해주는 모델을 개발했다.

 구글은 민감한 정보가 포함된 실제 환자들의 기록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데이터 세트를 만든 뒤 훈련된 모델이 여러 병원 현장의 임상 기록과 치료에서 잘 작동하는지 확인했다.

 이 과정에서 분자 생물학의 발산 서열 정렬 기술 등이 활용됐으며 이를 통해 약어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확장하는 모델의 능력을 평가할 수 있었다고 저자들은 설명했다.

 모델을 활용한 약어 변환 사례를 보면 '45 yo m pt undergoing pt for lbp'를 '45 year old male patient undergoing physical therapy for low back pain'(허리 통증으로 물리 치료를 받는 45세 남성 환자)으로 번역해주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45 yo m pt undergoing pt for lbp was referred for bruising and elevated pt'를 '45 year old male patient undergoing physical therapy for low back pain was referred for bruising and elevated prothrombin time'(타박상과 혈액 응고 시간 증가로 허리 통증을 겪는 45세 남성 환자가 물리치료를 받고 있음)으로까지 번역된다.

 저자들은 "특정 의료 교육을 받지 않은 일반인은 의학 약어에 대한 이해도가 30% 미만이었지만, 구글 검색을 사용한 후에는 75%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검색 기술은 모든 의미를 해독하지는 못하더라도 환자가 보고 읽는 정보를 보강해 자신의 건강과 진단 및 치료 등 건강 지식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협 "임신중 타이레놀 자폐증 유발 근거無…불안 야기 말아야"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은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확립된 근거는 없다"고 밝혔다. 의협은 25일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정례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말하며 "국제적으로도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을 필요시 단기간, 최소 용량으로 사용하는 것은 안전하다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며 "불확실한 주장에 불안해하지 마시고 주치의와 상의해 약을 복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일부 전문가들이 불확실성을 강조하며 국민 불안을 야기하는 행동에 대해서 강력히 경고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이 자폐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면서 고열·통증을 타이레놀 없이 참고 견디되, "참을 수 없고 견딜 수 없다면 어쩔 수 없이 복용해야 하겠지만, 조금만 복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부프로펜·아스피린과 달리 아세트아미노펜은 임신부가 해열·진통을 위해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약물로 여겨져 왔다는 점에서 보건·의료계는 물론 정치권에서도 "근거가 뭐냐"는 반발이 일고 있다. 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