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낭절제 후 혈당 관리 중요…당뇨병 위험 20% 높아"

 담석증과 담낭암 등의 질환으로 담낭(쓸개)을 떼어낸 환자는 당뇨병 발병 위험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한림대 성심병원 내분비내과 강준구·허지혜 교수 연구팀은 2010∼2015년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5만5천166명과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대조군 11만332명을 최장 9년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16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외과학회 공식 학술지(Annals of Surgery)에 발표됐다.

 담낭은 소화를 담당하는 담즙을 농축, 저장, 분비하는 기능을 한다. 이런 담낭에는 담석증, 담낭염, 담낭용종, 담낭암 등의 다양한 질환이 생길 수 있는데, 근본적인 치료법은 담낭 전체를 떼어내는 담낭절제술이다.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를 보면 담낭절제술은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사람보다 당뇨병 발병 위험을 20% 높이는 부작용이 관찰됐다.

 특히 비만을 동반한 담낭절제술 환자는 정상 체중이면서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사람보다 당뇨병 발병 위험이 최대 41%까지 치솟았다.

 연구팀은 "담낭절제술은 비만보다도 더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분석됐다"면서 "이는 담낭이 체내 대사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기라는 이론을 임상적으로 입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담낭절제술 환자의 당뇨병 예방 생활수칙 5가지

 따라서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은 당뇨병 예방을 위해 평소 영양분을 고르게 섭취하고,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등의 노력을 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당부했다.

 강준구 교수는 "담낭을 떼어내면 체내 포도당 대사에 나쁜 영향을 미쳐 혈당 상승을 유발하기 때문에 담낭절제술 후에는 반드시 혈당 모니터링을 지속해야 한다"면서 "또한 당뇨병 발병 여부 확인을 위해 정기적으로 병원 검진을 받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세계 홍역 유행…해외여행 후 3주내 발열·발진 시 진료받아야
전 세계적으로 홍역이 유행하면서 해외여행 후에는 홍역 의심 증상 발현 여부에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방역당국이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베트남, 필리핀, 중국, 캄보디아 등 홍역 유행 국가를 방문한 뒤 귀국 3주 이내 발열이나 발진 등이 있다면 마스크를 착용한 채 가까운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받아달라고 당부했다. 병원 방문 시 해외여행 이력을 의료진에 알리고 진료받아야 하며, 의료진은 의심 환자로 판단될 경우 즉시 관할 보건소에 신고해야 한다. 홍역은 공기 전파가 가능한 전염성이 매우 강한 호흡기 감염병으로, 주되 증상은 발열·발진과 구강 내 회백색 반점 등이다. 잠복기는 7∼21일이고 면역이 없는 사람이 환자와 접촉하면 90% 이상 감염될 수 있다 홍역은 전염성이 높지만 백신 접종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질환이다. 국내에서는 생후 12∼15개월과 4∼6세에 총 2회 홍역 백신을 맞도록 하고 있다. 대개는 특별한 치료 없이 안정을 취하면서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는 것만으로 나아지지만 면역체계가 취약한 12개월 미만 영아가 홍역에 걸리면 폐렴, 중이염, 뇌염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예방에 주의해야 한다. 홍역 유행 국가 방문을 최대한 자제하는 게 좋고, 불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검찰, 3개 중견 제약사 수사…'전공의 리베이트' 관련
전공의들의 리베이트 수수 의혹 담당 검찰이 3개 중견 제약사를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은 지난달 중순부터 혈액제제 전문기업 A사와 진통제 분야 중견 제약사 B사, 안과 의약품 특화 제약사 C사 3곳을 약사법 위반 혐의로 수사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 제약사는 2021년 리베이트 제공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 처분을 받기도 했다. 대형 병원 여러 곳을 운영하는 학교법인 D학원도 의료법 위반 혐의로 수사 대상에 포함됐다. 아울러 의사와 제약사 직원 등 8명도 각각 의료법 위반·배임수재 또는 약사법 위반·배임중재 등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이 중 일부는 뇌물을 준 경우에 적용되는 배임중재 혐의 외에도 약사법 위반, 업무상 배임, 사문서위조, 위조 사문서 행사 등 여러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앞서 서울 노원경찰서는 2019년부터 수년간 제약회사 직원들로부터 '제품 설명회'를 빌미로 회식비를 제공받은 혐의로 작년 11월 서울 한 대학병원 전공의 출신 의사들과 제약사 직원들을 불구속 송치했다. 노원경찰서는 2023년 7월 이 사건을 무혐의 처분했으나 서울경찰청의 재조사 지휘를 받고 다시 조사에 착수했고, 수사 과정에서 이번 사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