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코리아 2023' 개막…51개국·730여개 기업 참가

바이오헬스 혁신기술의 장…일상회복으로 작년보다 참가기업 늘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최하는 보건 산업 박람회인 '바이오코리아 2023'이 10일 사흘 일정으로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막했다.

 올해 18회째를 맞는 바이오코리아는 바이오헬스 산업 분야의 최신 기술을 소개하고 국내외 기업들이 교류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국제적 행사다.

 올해는 '초연결시대 신성장 혁신기술로의 도약'을 주제로 열리며, 보건산업진흥원과 충청북도가 공동 주최한다.

 주최 측에 따르면 올해 바이오코리아에는 51개국·729개 기업이 참여한다. 이중 해외기업은 240 여개사로, 코로나19 일상회복과 맞물려 지난해보다 20% 이상 참가가 증가했다.

 올해 행사에서는 11개 주제 21개 세션으로 13개국 120여명이 연사로 나서는 학술행사(콘퍼런스)가 열린다.

 콘퍼런스에는 네이버 클라우드 류재준 총괄이사를 비롯한 여러 연사가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최신 동향을 공유하고 토론한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주목받은 디지털 전환을 비롯해 차세대 임상시험, 백신, 재생의료,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등 다양한 첨단 기술 주제들에 대한 세션들이 진행된다.

 아울러 사업 간담회(비즈니스 파트너링), 전시, 투자설명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각국 기업들의 교류와 거래를 도울 예정이다.

 비즈니스 파트너링에는 일라이 릴리, 존슨앤드존스, 머크, 베링거인겔하임, 페링제약, SK바이오사이언스, 삼성바이오로직스, 녹십자, 종근당, 한미약품, LG화학 등 국내외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참여한다.

 460개 기업의 미팅 1천200여건이 사전에 체결돼 있으며, 행사 기간 내에 해외 기업들이 더욱 많이 미팅에 참여하도록 24시간 온라인 미팅도 운영한다.

 전시에는 338개사(해외기업 102개사)가 참가해 각국의 최신 기술을 선보인다. 전시관은 위탁생산(CMO) 및 위탁개발생산(CDMO), 임상시험기관(CRO), 첨단재생의료관, 국가관 등 각 주제별로 운영된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이날 개막식 축사에서 "의료·건강·돌봄 서비스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디지털 전환시기는 우수한 정보통신기술(ICT)과 빅데이터 등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이 세계 리더로 발돋움 할 계기가 될 것"이라며 "디지털·바이오헬스 산업이 국가 차세대 성장 동력이 되도록 투자를 확대하고 규제를 개선해서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차순도 보건산업진흥원장도 "바이오헬스 산업은 앞으로 우리나라를 이끌 차세대 동력 산업"이라며 "바이오헬스 산업을 통해 국내 산업 발전에 더욱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유전 데이터로 아기 선별해 낳는다?…美 스타트업 '슈퍼베이비' 논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한 스타트업이 제공하는 배아 유전체 검사 서비스가 '슈퍼베이비' 논란을 낳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지난 17일 보도했다. 난임 스타트업 '오키드헬스'는 배아를 대상으로 향후 발병 소지가 있는 수천 가지 질병을 검사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를 통해 예비 부모는 자녀의 유전 정보를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이 알 수 있다. 현재는 시험관 시술(IVF)을 받는 여성과 커플들이 낭포성 섬유증이나 다운증후군 같은 단일 유전자 변이나 염색체 이상을 검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스타트업은 최초로 30억 염기쌍의 배아 전체 유전체를 시퀀싱(DNA의 염기 배열 분석)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배아에서 채취한 5개 세포만으로 전체 유전체를 분석하고, 조현병·알츠하이머·비만 등 1천200여개 질병의 발병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질병 가능성은 점수화되는데, 이 데이터를 통해 아이를 선별해 낳을 수 있는 셈이다. 오키드헬스 창업자 누르 시디키는 "오키드는 질병을 피할 수 있는 유전적 축복을 받는 세대를 만들고 있다"고 소개하며 "섹스는 즐거움을 위한 것이고, 아기를 위한 것은 배아 스크리닝"이라고 말했다. 오키드헬스의 유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