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간의 10배 부풀어 오른 희귀병 환자 세브란스병원서 간이식 성공

 일반인의 10배 이상인 12.1kg까지 간이 부풀어올랐던 다낭성 간질환 환자가 생체 간이식에 성공해 건강을 되찾았다고 연세의료원이 12일 밝혔다.

 연세의료원에 따르면 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 간이식팀 이재근 교수가 수술한 환자 김모 씨의 이식 간이 최근 검진을 통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것을 확인했다.

 다낭성 간질환은 체내 노폐물이 배출되지 않고 뭉쳐져 덩어리를 이루는 물혹이 간 전체에 퍼지는 희귀병으로, 증상이 있는 다낭성 간질환은 인구 100만 명당 한 명꼴로 매우 희귀하다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연세의료원은 "이 교수가 수술시간과 수혈량을 획기적으로 줄였다"며 지난해 일본 게이오 의과대학의 사례보다 수술시간은 40% 줄어든 1시간, 사용한 혈액량은 99.6% 적은 200㏄였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문헌상으로 이렇게 거대한 간의 생체 간이식은 드물다"며 김씨의 경우 물혹이 지나치게 커져 혈관 상태가 매우 약했고, 혈관이 터져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를 고려해 하대정맥(다리에서 올라오는 혈관)을 막고 간을 떼어내는 일반적 방법 대신 에크모(인공심폐기·ECMO)를 사용해 하대정맥에서 올라오는 혈액을 직접 심장으로 돌렸다.

 그는 "이번 수술은 공여자와 혈액형이 다르고 에크모까지 사용하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의료진이 협진하고 환자와 보호자가 믿고 따라줘 좋은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 간이식팀은 올해 초 7.7kg에 달하는 다낭성 간질환 환자 간이식에도 성공한 바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