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병원 심장내과, 대동맥판막 협착증 진행 예측 인자 규명

서정훈·류동열 연구팀 논문, 심장영상분야 세계적 권위지에 게재

 강원대학교병원은 심장내과 연구팀의 대동맥판막 협착증 진행 예측 인자 규명 연구 논문(제1 저자 서정훈, 교신저자 류동열)이 세계적 권위지인 '유럽심장학회 심혈관 영상학회지'에 게재됐다고 12일 밝혔다.

 논문은 대동맥판막의 도플러를 이용한 단위 시간당 압력(dP/dt, 단위 mmHg/s)이 증가할수록 중증 대동맥판막 협착증으로 더 빨리 진행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는 사망률이 높은 질환인 중증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진행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논문에 따르면 평균 2년 7개월의 관찰 기간 경증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 404명 중 12명(3%), 중등도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 77명 중 31명(40%)이 중증으로 진행됐다.

 또 대동맥판막 dP/dt가 600mmHg/s 이상인 환자군에서 중증 대동맥판막 협착증으로의 진행 속도가 더 빨랐다.

 이를 통해 나이, 흡연, 대사질환 등 요인 외에도 대동맥판막 dP/dt의 증가가 더 심한 판막 손상과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연구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강원대병원 심장 초음파실에서 2회 이상 검사한 경증·중등도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 481명을 대상으로 했다.

 류동열 심장내과장은 "현재의 진료 지침에서 대동맥판막 협착증 중증도를 나누는 기준으로는 개개인의 진행 정도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도플러 심장초음파를 이용한 새로운 변수가 개별화된 모니터링을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혁신 신약 개발 플랫폼 '프로탁'이용,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국내 연구진이 혁신적인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프로탁'을 이용해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심만규 선임연구원과 건국대 박주호 교수 연구팀이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치료제 '나노탁'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노탁은 프로탁과 나노 의약을 합친 말이다. 프로탁은 질병을 유발하는 표적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최근 임상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암세포나 암 관련 유전자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암종에서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빛을 쪼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광역학 치료가 면역반응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삼중음성 유방암 같은 고형암의 저산소 환경에서는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연구팀은 프로탁과 암 조직 내 면역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광감각제(빛에 반응하는 약물)를 결합해 암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탁을 삼중음성 유방암 동물 모델에 투여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