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해 전후 정신과 진료받으면 자살사망률 10%P 이상 낮아져"

연세대 연구팀 논문 국제학술지 게재

 자해 경험이 있는 환자가 정신과를 찾아 진단이나 치료를 받으면 자살로 생을 마감할 확률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은 연세대 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김혜현 박사, 고찬영 강사, 박유랑 교수 연구팀이 자해 전후 정신과 진료 경험과 자살로 인한 사망률의 관계를 규명한 논문을 국제학술지 'JMIR 공공보건 및 감시' 최신호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2002∼2020년 고의적 자해로 병원을 방문한 적이 있는 5천640명의 정신과 방문과 자살로 인한 사망 간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자해 후 정신과 진단이나 치료를 받은 집단이 자살로 생을 마감하지 않을 확률(자살생존율)은 97.7%로 가장 높았다. 자해를 하기 전에 정신과를 방문한 집단의 자살생존율은 89.06%로 뒤를 이었다.

 결과적으로 자해 전후 정신과에서 진단과 치료를 받은 경우의 자살생존율은 93.4%였다.

 반면 정신과를 방문한 경험이 없는 집단의 자살생존율은 81.48%로 가장 낮았다. 치명적인 자해를 할 확률도 56.39%로 가장 높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자살의 주요 원인에는 고의적 자해, 노령, 신체장애, 사회경제적 어려움 등이 꼽힌다. 특히 고의적 자해는 10∼30대 사망원인 1위(약 47%)를 차지한다.

 박유랑 교수는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해 진단과 치료를 받은 이력에 따라 고의적 자해를 한 환자에서 사망률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연구 결과가 자살 예방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휴온스그룹, 건기식 사업 통합법인 '휴온스엔' 출범
휴온스는 2일 건강기능식품 사업부문 물적분할 후 자회사 휴온스푸디언스와 합병하는 절차를 완료함으로써 신설 법인 '휴온스엔'이 출범했다고 밝혔다. 휴온스엔은 기존 휴온스와 휴온스푸디언스에 분산된 인력과 자원을 합쳐 원료 연구개발부터 제조, 마케팅, 유통까지 하나의 밸류체인으로 연결되는 건강기능식품 '올인원'(ALL-IN-ONE) 사업 구조를 완성했다고 회사가 전했다. 휴온스엔은 다양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설비 및 기술력을 보유하고 동결건조, 발효, 유동층 과립, 스틱, 파우치, 젤리 스틱, 고형제 등 다양한 제형에 대한 맞춤형 제조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갱년기 유산균 'YT1', '사군자추출분말', '황칠추출분말' 등 독자 개발한 개별 인정 원료를 기반으로 한 중년 여성 건강을 위한 유산균 '메노락토 프로바이오틱스', 남성 전립선 건강을 위한 '전립선 사군자 프리미엄' 등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휴온스엔은 개별인정형 원료 기반 제품들을 중심으로 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하고, 시장 내 입지를 더욱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휴온스엔 손동철 대표는 "그룹 내 건강기능식품 사업을 이끌어갈 핵심 계열사로서의 위상 확립과 동시에 사업 전문성을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