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용량 아스피린 복용 노인, 빈혈 위험↑"

 심뇌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노인은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빈혈은 피로, 호흡곤란, 현기증, 부정맥, 두통, 흉통, 창백하거나 노란 피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호주 모나쉬(Monash) 대학 의대 혈액학 교수 조 맥퀼튼 박사 연구팀이 70세 이상 노인 1만9천114명을 대상으로 5년 동안 진행된 임상시험(ASPirin in Reducing Events)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이들은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뉘어 한 그룹(실험군)엔 매일 저용량(100mg) 아스피린, 다른 그룹(대조군)엔 위약(placebo)이 투여됐다.

 실험군은 또 산소를 온몸에 실어 나르는 적혈구의 헤모글로빈(혈색소) 수치가 대조군보다 줄었다.

 실험군은 이와 함께 혈중 철분도 대조군보다 적었다. 우리 몸은 철분을 이용해 헤모글로빈을 만든다.

 따라서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 노인은 피로, 호흡곤란 같은 빈혈 증세가 나타나는지 주시하면서 주기적으로 헤모글로빈과 혈중 철 수치를 모니터하도록 연구팀은 권고했다.

 이에 대해 웨스턴 펜실베이니아 혈우병 센터(Hemophilia Center of Western Pennsylvania) 의료실장이자 미국 혈액학회 대변인인 마거리트 라니 박사는 아스피린이 혈소판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타나는 당연한 결과라고 논평했다.

 아스피린은 혈소판의 혈액 응고 능력을 방해해 심근경색과 뇌졸중을 막아줄 수 있지만 위장관(gastrointestinal tract)과 다른 신체조직으로부터의 혈액 누출을 막는 작은 혈액 응고들을 억제하기 때문에 출혈이 발생하고 이 때문에 빈혈이 나타날 수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위장관은 출혈이 흔히 나타날 수 있는 곳으로 이를 막지 못하면 혈액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출혈로 헤모글로빈과 혈중 철(blood iron) 수치가 줄어들면 빈혈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노인은 노화 과정에서 빈혈이 나타나게 마련이지만 다만 아스피린이 빈혈을 더욱 촉진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그는 덧붙였다.

 미국 심장협회(AHA)는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을 겪었거나 관상동맥 협착으로 스텐트 시술을 받은 일이 있거나 부정맥인 심방세동 병력이 있는 사람은 의사와 상의해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AHA는 그러나 첫 심근경색이나 첫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의 저용량 아스피린 투여는 득보다 실이 클 수 있다면서 권장하지 않고 있다.

 미국 질병 예방 특별 위원회(USPSTF)도 60세 이상 노인은 심장병 예방 목적으로 저용량 아스피린을 복용하지 말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내과학회 학술지 '내과학 회보'(Annals of Internal Medicine)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 낙후지역에서도 자궁경부암 손쉽게 진단한다
한·미 공동 연구팀이 의료낙후지역에서도 자궁경부암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를 손쉽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창열 박사팀과 미국 하버드 의대 이학호 교수팀은 인체유두종 바이러스(HPV)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현장 진단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피부 접촉 등을 통해 감염되는 HPV는 여성의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진단에는 세포 검사, 아세트산 시각검사, 유전자증폭(PCR) 검사 등이 활용된다. 기존 진단법은 전문 의료시설이 필요해 의료환경이 열악한 중·저소득 국가나 지역에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유전자가위 기반의 핵산 검출 기술과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을 융합, 고감도로 HPV를 진단할 수 있는 휴대용 플랫폼을 개발했다. 한 번에 최대 12개의 시료를 35분 안에 분석할 수 있으며, 진단 시약도 고형화해 현장 운송과 보관이 쉽다. 이번에 개발한 플랫폼을 통해 임상 시료 169개를 정확히 분석,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이창열 박사는 "우간다와 가나에서 현지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열악한 의료 환경에 놓인 국가나 지역의 의료 소외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학호 교수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코로나 진단 받아도 약이 없어요"…속 타는 고위험군 환자들
"코로나19 진단을 받았는데 병원은 치료제가 부족해 처방해줘도 소용없을 거라면서 감기약 처방전만 주더라고요. 이래도 되는 건가요?" 서울에 거주하는 직장인 민모(56)씨는 최근 고령의 어머니가 코로나19 진단을 받았지만 제대로 된 치료도 처방도 받지 못했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민씨는 "젊고 건강한 사람들이면 모르지만 어머니는 80세가 훌쩍 넘었다"며 "당뇨증에 합병증까지 있어 코로나19로 언제 어떻게 잘못될지 모르는데 의료 파업으로 응급실 입원도 어렵다고 하니 속이 탄다"고 말했다. 최근 코로나19 재유행으로 확진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고령층 또는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에 속하는 환자들이 치료제를 공급받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온라인상에서도 코로나19 치료제를 구하지 못해 우려하는 글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한 누리꾼은 "어머니가 자가진단 키트에서 양성 반응을 보여 동네 내과에 가 3만원을 주고 코로나19 검사를 받았는데 약이 없다고 했다"며 "약도 없는데 검사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며 울분을 토했다. "보건소에 전화해봤는데 이 지역에는 치료제가 없다고 한다", "코로나 진단을 받았는데 약이 없어 감기약만 한가득 타 왔다"는 글도 여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