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관광객도 피부·성형외과 쏠림…13년새 전체의 13.8%→28.1%

보건산업진흥원 "K-뷰티 관심 높아지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

 지난 13년 동안 한국의 의료기관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 중 '미용 진료'가 대부분인 성형외과·피부과 환자 비중이 두 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간한 '2022 외국인환자 유치실적 통계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집계가 시작된 2009년 전체 진료과별 실환자 6만4천464명 중 성형외과·피부과 환자 비율은 13.8%(8천866명)였지만, 2022년에는 29만3천350명 중 8만2천374명으로 전체의 28.1%에 이르렀다.

 코로나 팬데믹 이전 역대 최대 외국인환자 수인 59만866명을 기록한 2019년에는 29.7%에 달했다.

 외국인환자 중 성형외과 진료 비중은 2009년 4.4%에서 2019년 15.3%까지 꾸준히 늘었다.

 코로나가 정점이었던 2020년과 2021년에 주춤했지만, 유행세가 잦아든 지난해에는 15.8%로 최고였다.

 외국인 환자의 피부과 진료 비중도 2009년 9.3%에서 2019년 14.4%로 높아졌다가 지난해에는 12.3%를 기록했다.

 반면 외국인환자 중 일반내과·감염내과 등 내과통합 진료 환자는 2009년 28.5%였지만 2022년엔 22.3%로 줄었다.

 검진센터를 찾은 환자도 같은 기간 13.9%에서 6.6%로 줄었다.

 한국 성형외과·피부과를 많이 찾은 것은 태국·중국·일본 등 아시아 환자들이다.

 성형외과 외국인 환자 가운데 태국 비중이 24.2%로 1위였으며 그다음은 일본 18.6%, 중국 13.9%, 미국 11.0%였다.

 피부과는 중국 23.0%, 일본 19.1%, 미국 15.1%, 태국 12.3% 순이었다.

 태국과 일본 환자들은 성형외과와 피부과 진료 비율이 70% 안팎에 달했다.

 진흥원은 성형외과와 피부과를 찾는 일본·태국 환자들이 특히 많이 늘어난 이유에 대해 "관광객 유입 증가, 국경제한 완화, 관광비자 발급, SNS 홍보 등으로 시술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홍보 활성화 등으로 인해 K-뷰티 관심도가 상승하면서 피부·성형외과 외국인 환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은경 복지장관 "의료대란 영향 조사 필요…목적·방법 검토"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의료대란이 환자 등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장관은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출석해 "환자·시민단체들은 반드시 지난 의료대란에 대한 피해 조사와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장관님 견해는 어떤가"라고 묻는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조사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다만 정 장관은 "환자단체에서의 조사 요구와 의원님이 말씀하신 (보건의료기본법 일부개정안의) 조사는 조금 달라서 피해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고, 개인에 대한 개별적인 피해 조사와는 다른 측면이 있어 그런 부분을 잘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이 "정부가 의료대란의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체계적으로 조사해 알릴 필요가 있고, 혹시라도 반복될 시 정부가 어떤 대응을 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서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동의하시냐"고 묻는 질문에는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의대 증원과 전공의 사직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이 1년을 넘기며 장기화하자 환자·시민단체들은 의료 공백에 따른 피해 조사와 재발 방지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