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의료·헬스케어, 해외 진출 박차…"잘 관리된 데이터가 강점"

 인공지능(AI) 기반 의료·헬스케어 기업들이 해외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AI 헬스케어 기업 룰루랩은 최근 베트남 하노이 의과대학 산하 종합 병원에 'AI 피부 의료 플랫폼'을 공급했다.

 'AI 피부 의료 플랫폼'은 인종과 국가에 상관없이 피부과 치료에 필요한 항목을 분석하는 AI 피부 분석 설루션 '루미니 키오스크', 병원 관리용 고객관계관리(CRM) 시스템, 고객 스스로 피부 데이터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통합 시스템이다.

 루미니 키오스크는 CRM 시스템과 연동되며 피부 분석 결과와 시술 정보 등이 자동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설루션이다.

 의료 AI 기업 루닛은 사우디아라비아 국가 전략 사업 '비전 2030'의 핵심 과제인 'SEHA 가상병원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루닛은 사우디 보건부 산하 공공 의료 가상 병원에 흉부 엑스레이 AI 영상 분석 설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와 유방 촬영술 AI 영상 분석 설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설치하며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의료 AI 기업 제이엘케이는 최근 AI 뇌경색 유형 분류 설루션 'JBS-01K'와 AI 뇌출혈 분석 설루션 'JBS-04K'를 우즈베키스탄 국군중앙병원에 구축했다.

 국내 AI 의료·헬스케어 기업이 이처럼 해외 진출에 박차를 가할 수 있는 원동력은 바로 데이터다.

 루닛 관계자는 "한국처럼 데이터 관리가 잘 돼 있는 국가가 흔치 않다"며 "예를 들어 미국은 보험료가 비싼 탓에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사람들이 검사를 꺼리는 경향이 있어 한국보다 환자의  데이터를 얻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룰루랩 관계자는 "피부 데이터 시장에서 관건은 데이터의 양과 질"이라며 "후발 주자들이 따라오기에는 격차를 크게 벌려 놔서 기술 장벽이 큰 경쟁력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베트남은 몇 년 전부터 의료 시장의 디지털화를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다"며 "(베트남 시장 상황을) 염두에 두고 있었는데 좋은 기회를 만났다"고 덧붙였다.

 제이엘케이는 "'한국인 뇌 MR 영상 데이터센터'와 계약해 10년 이상의 연구 데이터를 확보했다"며 "10만 명 이상의 임상 데이터를 분석해 정확한 설루션을 자랑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글로벌 뇌졸중 시장은 국내보다 더 큰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의료 AI 산업의 빠른 성장 속도에 맞춰 국내 진출과 더불어 해외 진출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