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응급실 온열질환자 2천명 넘어…2018년 이후 최다

집계 시작한 2011년 이후 두 번째로 많을 듯…누적사망자 27명

 절기상 가을로 접어드는 입추(立秋)인 지난 8일까지 폭염이 이어진 가운데 전국의 온열질환자가 누적 2천명 넘게 나왔다. '역대급' 폭염이었던 2018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9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하는 온열질환감시체계 집계에 따르면 전날 온열질환으로 90명의 환자가 응급실을 찾아 집계가 시작된 5월 20일 이후 누적 질환자는 2천85명이 됐다.

 온열질환 감시체계 운영이 시작된 2011년 이후 가장 많이 나온 해는 2018년 4천526명이었다.

 두 번째로 온열질환자가 많이 발생한 해는 2016년으로 2천125명이었는데, 해당 연도의 8월 8일까지 누적 환자 수는 1천237명이었다.

 올해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27명으로, 역시 2018년(48명)에 이어 최다였다.

 기상자료개방포털에 따르면 연 폭염일수도 8일 기준 16일로, 2018년(31일)과 2013년(16.6)일에 이어 세 번째였다.

 폭염일수는 일 최고기온 33.0℃이상인 날의 일수로 전국 62개 지점을 활용하여 산출한다.

[질병관리청 누리집 화면 캡처]

 온열질환자 중에서는 고령층이 많았다. 65세 이상의 비율은 30.9%(644명)였다.

 온열질환은 주로 오후 3시에서 오후 4시 사이에(11.4%), 실외 작업장(30.7%)에서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질병청은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이 참여하는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를 운영 중이다. 전체 응급실의 97%가량인 504곳이 감시체계에 참여하고 있다.

 응급실 의료진이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8)의 온열질환자 혹은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로 판정한 경우 통계에 포함된다. 전수조사가 아닌데다 의료진의 판단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소방당국 등 다른 기관의 집계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내년부터 56·66세는 국가건강검진서 폐기능 검사 받는다
내년부터 56세와 66세 국민은 국가건강검진에서 폐기능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보건복지부는 18일 올해 제1차 국가건강검진위원회를 열어 '폐기능 검사 신규 도입방안'과 '이상지질혈증 및 당뇨병 사후관리 강화방안'을 심의·의결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주요 호흡기 질환으로 유병률이 12%로 높은 편이지만 질병에 대한 인지도가 2.3%로 낮은 데다 초기에 별다른 증상이 없어 국가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날 의결로 내년부터는 56세와 66세 국민이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때 폐기능 검사를 함께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게 가능해지고, 금연 서비스와 건강관리 프로그램 제공 등 사후 관리 체계와 연계돼 중증으로 악화하는 걸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복지부는 기대했다. 이날 위원회에선 건강검진에서 이상 소견이 나와 의료기관 진료 시 본인부담금을 면제하는 항목에 이상지질혈증 진찰료와 당뇨병 의심 환자의 당화혈색소 검사를 추가하는 내용도 의결됐다. 현재는 건강검진 결과 고혈압, 당뇨, 폐결핵, C형간염, 우울증, 조기 정신증이 의심될 경우 검진 후 첫 의료기관에 방문 시 진찰료와 검사비 등 본인부담금이 면제되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