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자 5명 중 2명은 궐련과 전자담배 섞어 피워"

복지부·건강증진개발원, '전자담배 규제방안' 포럼
"규제정책 수립 시 '혼용 흡연'에 대한 고려 필요"

 국내 흡연자 5명 중 2명은 궐련담배(일반 담배)와 전자담배 혹은 여러 형태의 전자담배를 섞어 피우는 혼용 흡연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담배 이용자 중에서는 전자담배만 피우는 경우보다 혼용 흡연을 하는 경우가 훨씬 많았다.

이성규 한국담배규제연구교육센터장은 20일 보건복지부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서울 강남구 삼정호텔에서 '전자담배 규제방안'을 주제로 개최한 '2023년 금연정책 포럼'에서 '전자담배 사용행태 및 조사 연구'(복지부 연구용역) 결과를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울산대 산학협력단이 2022년 11월 7∼17일 20∼69세 8천명(남녀동수)을 상대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재 흡연자 2천306명 중 940명(40.8%)이 궐련담배와 전자담배를 같이 이용하거나 액상형과 궐련형 전자담배를 함께 흡연하고 있었다.

 흡연자 중 '궐련+액상형 전자담배' 이용자가 11.8%, '궐련+궐련형 전자담배' 이용자가 15.2%, '액상형 전자담배+궐련형 전자담배' 이용자가 2.6%, 세 가지 유형을 모두 이용하는 경우가 11.2%였다.

 액상형 전자담배나 궐련형 전자담배만 이용하는 경우는 각각 흡연자의 5.7%, 7.0%로, 전자담배 한가지 형태만 흡연하는 경우보다 혼용 흡연자가 훨씬 많은 것이다. 궐련담배만 이용하는 사람은 흡연자의 46.6%였다.

CC=궐련담배, EC=액상형 전자담배, HTP=궐련형 전자담배 [복지부 '2023년 금연정책 포럼' 발표문 캡처]

 전자담배 이용자 중에서는 건강에 덜 해롭거나 금연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이용 이유로 드는 경우가 많았다.

 액상형 전자담배만 이용하는 사람의 67.2%와 궐련형 전자담배만 이용하는 사람의 52.8%가 자신이 이용하는 전자담배에 대해 '건강에 덜해롭다'고 인식했는데, 비흡연자는 각각 23.4%와 11.5%만 같은 생각이었다.

 이 센터장은 "담배 사용이 궐련 중심에서 전자담배로 다양해지고, 전자담배의 혼용 사용이 지속적인 현상이 됐다"며 "담배 규제정책 수립 시 혼용 흡연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담배 업계의 마케팅을 통해 전자담배 같은 신종담배에 대해 검증되지 않은 정보가 유통되고 있고, 전자담배 사용자는 전자담배가 덜 해롭고 금연에 도움이 된다고 오해하고 있다"며 "특히 청소년의 전자담배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흡연자 5명 중 2명은 궐련과 전자담배 섞어 피워" - 3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여름 앞두고 자외선차단제 경쟁…투명 제형부터 복합기능까지
여름을 앞두고 화장품 업계의 자외선차단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물처럼 흐르는 액체 형태부터 주름 개선과 미백 등의 복합 기능까지 갖춘 제품도 등장하고 있다. 4일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자외선차단제는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는 데 발림성이나 피부가 하얗게 뜨는 백탁현상, 기능성 등을 따지는 경향이 강한 카테고리로 매년 여름 신제품 경쟁이 치열 하다. 이에 화장품 업체들은 연구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다. 화장품 제조업자 개발생산(ODM) 기업 코스맥스[192820]는 최근 5년간 특허 출원 건수 중 10% 이상인 60여건을 자외선 차단 기술에 할애했다. 올해 초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해 연구혁신(R&I)센터 내 자외선 차단 제형 연구를 담당하는 선케어(SC)랩을 독립시키고 조직도 확대했다. 코스맥스의 대표적인 자외선 차단 제형으로는 투명한 '캡슐선'이 있다. 가벼운 사용감과 백탁현상이 덜한 제형을 선호하는 젊은 세대의 특성을 조준한 것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코스맥스는 지난해 말 포항공과대학교 연구팀과 공동으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자외선 차단 소재인 '스파이크 야누스 나노입자'도 개발했다. 코스맥스 관계자는 "자외선차단제 수요가 국내외에서 빠르게 증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