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으면 바다 건너라도'…ADC 기술 찾는 제약바이오 업계

ABL바이오, 이중항체 ADC 개발 나서…신약개발사업단, ADC 개발 프로젝트 추진

 항체약물접합체(ADC)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기술 확보를 위한 적극적 투자와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ADC는 암세포 표면의 특정 표적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antibody)와 강력한 세포 사멸 기능을 갖는 약물(drug·payload)이 링커(linker)라는 연결 물질로 결합한 형태의 바이오 의약품이다.

 약물이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해 치료 효과는 높이고 부작용은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지난 7월 국내 바이오 벤처 기업 카나프테라퓨틱스와 ADC 기술 플랫폼 구축을 위한 위탁 연구 및 공동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최근 네덜란드 생명 공학 기업인 시나픽스로부터 이중항체 항체약물접합체 개발을 위한 플랫폼 기술을 도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기존 ADC는 단독 항체에 기반하고 있는데 이중항체를 사용해 개발하면 ADC의 효능이 높아지고 부작용은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삼성물산과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최근 3사가 1천700억원을 출자해 운영중인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의 네 번째 투자처로 국내 ADC 개발 기업 '에임드바이오'를 선정하고 지분 투자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분 투자와 함께 에임드바이오와 ADC 개발을 위한 기술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는 앞서 스위스의 ADC 기술 개발사인 '아라리스 바이오텍'에도 투자한 바 있다.

 정부도 ADC 분야를 육성하기 위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섰다.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DC를 개발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하고 피노바이오,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앱티스 주식회사 등 약물, 링커, 항체 개발 기업의 개발 과제를 각각 한 곳씩 선정했다.

 사업단 관계자는 "ADC는 글로벌 빅파마들이 한창 집중하는 분야"라며 "과제 선정에 따라 연구·개발 비용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비급여 항목' 보고제도에 의료기관 95% 참여…나머지 5% 과태료 부과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진료' 항목 보고제도에 전체 의료기관의 95%가 참여했다고 보건복지부가 10일 밝혔다. 복지부는 올해 4월 15일 비급여 보고 제도를 전체 의료기관 7만2천815곳을 대상으로 확대 시행했다. 지난해에는 병원급 의료기관 4천245곳만 참여했다. 비급여 보고제도는 의료법 등에 따라 의료기관이 건강보험 비급여 진료 비용과 내역 등을 보건당국에 의무적으로 보고하도록 한 제도다. 비급여 진료는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진료비를 전액 부담하는데, 이런 비급여 현황을 파악해 국민이 합리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번에 정보를 보고하지 않은 의료기관 5%는 의료법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될 예정이다. 올해 보고 기간(4월 15일∼6월 30일)에 각 의료기관은 3월 진료내역 중 비급여 항목별 단가, 빈도, 상병명, 수술명 등을 보고했다. 올해 보고 항목은 총 1천68개로, 지난해(594개)보다 474개 늘었다. 복지부는 이번에 모은 비급여 보고 자료를 분석해 특정 질환 치료·수술 비용이나 진료 안전성·효과성 등 필요한 정보를 올해 안에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특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암 치료용 가속기 전원장치 국산화 성공
한국원자력의학원은 5일 선택적 암 치료에 쓰이는 가속기 핵심 장치인 고전압 전류장치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선의학연구소 홍봉한 의료용가속기연구팀장 연구팀이 붕소중성자 포획 치료용 양성자 2.4메가전자볼트(MeV)급 탄뎀 가속기 1천200㎸ 고전압 전원장치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탄뎀 가속기는 전기장으로 입자를 가속해 이온빔 분석이나 중성자 포획 치료용 중성자를 만드는 데 쓰는 장치다.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암세포에 집중되도록 만든 붕소 약물을 암 환자에게 주입한 후 가속기로 만든 중성자를 쏘아 붕소가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해 주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비수술 치료법이다. 원자력의학원은 이 치료법에 필요한 고출력 양성자 가속기를 규모가 작고 전력을 적게 써 효율적인 대전류 양성자 탄뎀 가속기로 대체하는 연구를 2019년부터 진행 중이다. 이번에 개발한 전원장치는 입자 가속을 위한 에너지를 가속관에 전달하는 핵심 장치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진경 원자력의학원 원장은 "탄뎀 가속기의 핵심 장치 개발 성공으로 첨단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기의 국내 개발을 앞당겨 해외 선도 기술과의 격차를 줄이고 난치 암 환자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