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복용 환자 위해 편의성 높이자"…복합제 개발 활발

대웅제약, 당뇨병 복합제 '엔블로멧' 출시 준비중
보령, 고혈압 4제 복합제 임상 3상 승인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당뇨, 고혈압, 전립선 비대증 등의 분야에서 두 개 이상의 기존 치료제를 결합한 복합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자사 당뇨병 신약 엔블로에 기존 당뇨병 치료제인 메트포르민을 더한 복합제 '엔블로멧'의 출시를 준비 중이다.

 대웅제약은 또 엔블로와 다른 2가지 당뇨병약을 1년간 함께 투여하는 3제 병용 장기 임상 3상도 신청했다. 당뇨병은 3제 이상 병용 요법 점유율이 최근 5년간 상승세를 보였다고 대웅제약은 전했다.

 보령(구 보령제약)은 최근 식약처로부터 고혈압·이상지질혈증 복합제 'BR1018'의 임상 3상을 승인받았다.

 보령 관계자는 "복합제는 여러 질환이 있는 사람이 하나의 약만 먹으면 돼 편의성이 개선된다"며 "여러 약을 동시에 처방받지 않아도 돼 비용 절감 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보령은 현재 고혈압 복합제 'BR1015', 고혈압·이상지질혈증 복합제 'BR1017' 등 다양한 조합의 카나브 복합제를 추가 개발 중이며, 고혈압과 당뇨를 동시에 치료하는 복합제 'BR1019'도 임상 3상 계획을 신청하는 등 적극적으로 복합제 개발에 나서고 있다.

 동국제약은 최근 전립선비대증 복합제 'DKF-313'의 임상 3상에서 안전성과 효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DKF-313은 전립선 크기를 줄이는 '두타스테리드'와 남성 발기 부전 치료제로 배뇨 장애 증상 개선 효과가 있는 '타다라필'의 복합제다.

 동국제약에 따르면 다국적 제약사의 1개 제품을 제외하면 전립선비대증 복합제가 없다.

 동국제약은 복합제의 이중 효과를 통해 단일제보다 우수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하루에 한 번, 한 알만 복용하면 돼 만성 질환 환자의 삶의 질이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암 치료용 가속기 전원장치 국산화 성공
한국원자력의학원은 5일 선택적 암 치료에 쓰이는 가속기 핵심 장치인 고전압 전류장치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선의학연구소 홍봉한 의료용가속기연구팀장 연구팀이 붕소중성자 포획 치료용 양성자 2.4메가전자볼트(MeV)급 탄뎀 가속기 1천200㎸ 고전압 전원장치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탄뎀 가속기는 전기장으로 입자를 가속해 이온빔 분석이나 중성자 포획 치료용 중성자를 만드는 데 쓰는 장치다.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암세포에 집중되도록 만든 붕소 약물을 암 환자에게 주입한 후 가속기로 만든 중성자를 쏘아 붕소가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해 주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비수술 치료법이다. 원자력의학원은 이 치료법에 필요한 고출력 양성자 가속기를 규모가 작고 전력을 적게 써 효율적인 대전류 양성자 탄뎀 가속기로 대체하는 연구를 2019년부터 진행 중이다. 이번에 개발한 전원장치는 입자 가속을 위한 에너지를 가속관에 전달하는 핵심 장치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진경 원자력의학원 원장은 "탄뎀 가속기의 핵심 장치 개발 성공으로 첨단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기의 국내 개발을 앞당겨 해외 선도 기술과의 격차를 줄이고 난치 암 환자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