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세계 비만치료제 시장, 2030년 136조원 규모로 확대"

미국 일라이 릴리, 덴마크 노보 노디스크 시장 주도 전망

  미국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획기적인 비만치료제의 등장으로 관련 시장의 규모가 2030년까 지 1천억 달러(약 136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골드만삭스는 이 시장이 미국의 일라이 릴리와 덴마크의 노보 노디스크가 주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전망은 특히 최근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가 체중 감량뿐 아니라 심장마비와 뇌졸중 위험도 감소시킨다는 임상실험 결과가 나오면서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앞서 영국 IB 바클레이스는 지난 4월 2033년까지 비만치료제 시장 규모가 1천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독일 IB 베렌버그도 2030년까지 850억 달러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골드만삭스는 보고서에서 "만성적인 체중 관리시장이 변곡점을 맞고 있다"며 "견조한 성장에 이어 궁극적으로 의약품 가운데 역대 최대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비만치료제 '몬자로'를 생산하는 일라이 릴리는 현재 시장 가치 기준으로 세계 최대 헬스케어 기업이며, 노보 노디스크는 지난달 오젬픽과 위고비에 대한 시장의 열광적인 반응해 힘입어 유럽에서 가장 가치 있는 상장기업이 됐다.

 'GLP-1' 계열 의약품으로 알려진 노보 노디스크의 당뇨병 및 비만치료제는 세마글루타이드라는 활성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식욕을 억제하고 소화관을 통한 음식의 이동을 늦추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이미 '몬자로'라는 당뇨병 치료제로 승인받은 일라이 릴리의 티르제 파타이드는 올해 말까지 항비만제로 승인받아 비만치료제 시장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골드만삭스는 이들 두 기업이 2030년 비만치료제 시장의 80%를 점유하는 2강 체제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장 내 승모판 역류증, 성별 따라 수술 시점 달라져야"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은 노화로 인해 심장의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입구에 위치한 승모판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심장 판막 질환이다. 역류 현상이 지속되면 심장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질환 발생 초기부터 사망 위험이 더 높아 성별에 따라 수술 시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김대희 교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곽순구·이승표 교수 연구팀은 2006∼2020년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으로 수술받은 환자 1천686명을 8년간 추적 관찰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현재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의 표준 치료는 판막 성형술이나 인공 판막치환술과 같은 수술이다. 수술은 좌심실에 들어온 혈액이 대동맥으로 빠져나간 비율을 뜻하는 '좌심실 박출률'을 토대로 좌심실 기능 저하 여부를 판단해 결정한다. 환자에게 뚜렷한 증상이 없더라도 좌심실 박출률이 60% 이하이면 수술을 고려하도록 권고된다. 연구팀이 성별에 따른 좌심실 기능과 사망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좌심실 박출률이 55% 이하로 떨어졌을 때만 사망률이 유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