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아동치과주치의 시범사업 참여율 26.1%에 그쳐"

  정부의 아동치과주치의 시범사업 참여율이 26.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정의당 강은미 의원이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정부의 아동치과주치의 시범사업 참여 아동은 대상자 1만9천589명 중 5천104명(26.1%)이었다.

 정부는 2021년부터 세종특별자치시와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아동치과주치의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다.

 아동이 치과의원과 주치의 계약을 맺고 6개월에 한 번 치과를 찾아 구강 건강을 확인하는 방식이다.

 지난해는 5학년, 올해는 6학년을 대상으로 시행 중이다. 본인 부담률은 10%다.

 올해 8월 말 기준 소득분위별 참여자 비율에 따르면 가구 소득이 높은 5분위 아동의 참여율은 광주에서 41.2%, 세종에서 59.2%로 나타났다. 반면 가구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아동의 참여율은 광주에서 9.1%, 세종에서 5.5%였다.

 의원실은 서울이나 경기도 등 일부 지자체의 아동치과주치의 사업과 비교했을 때 정부의 시범사업은 오히려 본인부담금 10%가 발생하고 치료 지원이 없어 저소득 계층의 접근성이 떨어진다 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아동의 구강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본래 사업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경제적 이유로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 지원을 포함하는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사업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최적의 뇌종양 수술 위치' 반응성 별세포 영상으로 찾는다
국내 연구진이 최적의 뇌종양 수술 위치를 반응성 별세포 영상으로 찾는 새로운 치료전략을 제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이 세브란스병원 핵의학과 윤미진 교수팀, 신경외과 강석구·장종희 교수 연구팀과 함께 뇌종양 환자의 종양 주변부에 발현하는 반응성 별세포의 대사 매개 물질인 아세트산 항진을 영상화하는 기술을 제안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기술로 종양 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의 에너지 대사 기전을 밝혀 새로운 뇌종양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 뇌 세포의 절반 이상을 구성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는 알츠하이머나 염증 등에 의해 세포 수와 크기가 증가한 반응성 별세포로 활성화한다. 반응성 별세포는 다양한 뇌 병변에서 관찰되며, 뇌종양도 예외는 아니다. 연구진은 악성 종양으로 알려진 교모세포종 환자의 종양 조직 이식 동물모델로 종양 미세환경을 영상화해 분석한 결과, 아세트산이 종양세포보다는 주변에 형성된 종양 미세환경, 특히 반응성 별세포에 의해 대부분 흡수되는 것을 밝혀냈다. 종양세포는 계속 분열하기 위해 기본 에너지원이 되는 포도당을 거의 독점하다시피 이용해 빠른 에너지 대사 과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