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 복용 약물 생체이용률 8배 높인 나노 전달체 기술 개발

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미 공동 연구팀 "차세대 신약 개발 원천 기술"

  한·미 공동 연구진이 경구 복용을 통해서도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은 광주센터 정혜종 박사 연구팀과 전북대 의대 홍성출 교수, 미국 로스앤젤레스 SNJ 제약(Pharmaceutical) 김현진 박사 연구팀이 경구 복용을 통해서도 단백질, 펩타이드, 저분자 등 모든 종류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높여 치료 효능을 높일 수 있는 약물 전달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생체이용률은 약물이 체내로 흡수되는 효율이다. 소수성 물질은 친수성인 소화액에 녹지 않아 소화관을 통해 인체로 흡수되는 효율이 낮아 먹는 약으로 개발할 수 없다.

 신약후보 물질 중 70% 정도는 약효가 뛰어난데도, 생체이용률이 15% 미만으로 매우 낮아 신약으로 개발되지 못하고 버려진다.

 니클로사마이드는 코로나19를 포함해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병 치료에 탁월한 효능을 지닌 약물 후보물질이지만, 소수성이어서 항바이러스제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었다.

 공동연구팀은 인체 콜레스테롤 항상성 유지를 담당하는 담즙산의 생성·순환 과정을 모사한 약물 전달 기술을 개발했다.

 담즙산은 마치 세제와 유사한 역할을 해 소수성 물질을 나노 수준으로 녹게 한다. 장에 도달한 대부분의 담즙산은 장간 순환에 의해 간에 재흡수돼 혈류를 돌아 체내에 전달된다.

 연구팀이 이런 나노 전달체 기술을 적용한 니클로마사이드 약물을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햄스터에 경구 투여한 후 혈액에 남아있는 약물 입자량을 관찰한 결과, 생체이용률이 38.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조건 비교 실험에서 나타난 순수 니클로마사이드 약물 생체이용률(4.8%)보다 8배가량 높은 수치다.

 약물 투여 후 7일 동안 햄스터의 체온 및 체중 변화도 살폈다.

 약물을 투여하지 않거나 순수 니클로마사이드 약물을 투여한 대조군의 햄스터는 4일 만에 모두 죽었다.

 반면, 개발 기술이 적용된 니클로마사이드 약물 실험군 햄스터는 정상 체온과 체중을 유지하면서 건강하게 살아 있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소수성의 저분자 약물은 물론, 그동안 불가능하다고 여겼던 각종 단백질과 펩타이드 기반의 신약후보 물질도 고효율로 체내에 전달할 수 있어, 차세대 신약 개발에 응용성이 높은 원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정혜종 KBSI 박사는 "현재 다국적 제약회사들로부터 관련 기술에 대한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며 "조만간 니클로사마이드를 이용, 각종 바이러스는 물론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 치료에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감염병 치료제 분야 저명 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 온라인판에 지난 9월 21일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장 내 승모판 역류증, 성별 따라 수술 시점 달라져야"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은 노화로 인해 심장의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입구에 위치한 승모판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심장 판막 질환이다. 역류 현상이 지속되면 심장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질환 발생 초기부터 사망 위험이 더 높아 성별에 따라 수술 시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김대희 교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곽순구·이승표 교수 연구팀은 2006∼2020년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으로 수술받은 환자 1천686명을 8년간 추적 관찰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현재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의 표준 치료는 판막 성형술이나 인공 판막치환술과 같은 수술이다. 수술은 좌심실에 들어온 혈액이 대동맥으로 빠져나간 비율을 뜻하는 '좌심실 박출률'을 토대로 좌심실 기능 저하 여부를 판단해 결정한다. 환자에게 뚜렷한 증상이 없더라도 좌심실 박출률이 60% 이하이면 수술을 고려하도록 권고된다. 연구팀이 성별에 따른 좌심실 기능과 사망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좌심실 박출률이 55% 이하로 떨어졌을 때만 사망률이 유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