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기·유제품에 면역세포 항암 능력 높이는 성분 들어있다"

美 연구팀 "TVA가 종양 퇴치 능력 높여…암 치료 보충제 가능성"
"TVA 섭취 위해 육류·유제품 많이 먹는 건 해로울 수 있어"

 쇠고기와 양고기, 유제품 등에서 발견되는 지방산인 트랜스바세닉산(TVA)이 체내 면역세포의 암 퇴치 능력을 향상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시카고대 의대 징첸 교수팀은 최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서 TVA가 면역세포인 CD8+ T세포의 암세포를 죽이는 능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혈중 TVA 수치가 높은 환자가 면역요법에 더 잘 반응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첸 교수는 이는 TVA가 암 임상 치료를 보완하는 영양 보충제로서 잠재력이 있음을 시사한다며 다만 붉은 육류·유제품을 너무 많이 먹으면 건강해 해로울 수 있어 이 결과를 이들 음식을 많이 먹을 핑계로 삼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혈액 속 대사물질, 영양소 등이 암 발생·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음식 유래 대사산물 700여개로 된 데이터베이스에서 235개 생리 활성 분자로 된 '혈액 영양소' 화합물을 선별했다.

 TVA는 모유에 가장 풍부하게 들어 있는 트랜스 지방산이지만 체내에서 자체 생성되지는 않으며 약 20%만 다른 부산물로 분해되고 80%는 혈액을 순환한다.

 연구팀이 다양한 종양 유형의 마우스 모델에 TVA가 풍부한 사료를 먹인 결과 일반 사료를 먹인 대조군 쥐보다 CD8+ T세포의 종양 침투 능력이 향상됐으며 흑색종과 대장암 세포의 종양 성장 잠재력이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TVA가 T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자 및 유전자 분석을 한 결과 TVA는 보통 장내 미생물이 생성하는 짧은사슬지방산에 의해 활성화되는 GPR43이라는 T세포 표면 수용체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VA는 또 세포의 성장과 생존·분화 등 다양한 기능에 관여하는 CREB 경로라는 세포 신호 전달 과정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CD8+ T세포에서 GPR43 수용체만 제거한 마우스 모델은 항종양 능력이 개선되지 않았다며 GPR43 비활성화와 CREB 경로 활성화가 동시에 이뤄질 때 항종양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림프종에 대한 CAR-T 세포 면역요법 치료를 받는 환자의 혈액을 분석한 결과 TVA 수치가 높은 환자가 낮은 환자보다 치료에 더 잘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백혈병 세포주 실험에서는 TVA가 면역치료제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첸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TVA가 T세포 기반 암 치료에 도움이 되는 식이보충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다만 식품 공급원이 아닌 영양소 자체의 최적화된 양을 결정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붉은 육류와 유제품을 너무 많이 먹으면 건강에 해롭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어 이 결과를 치즈버거나 피자를 더 많이 먹을 핑계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첸 교수는 또 "TVA와 같은 효과를 내는 다른 영양소도 있을 수 있다"며 "식물성 지방산도 유사한 수용체를 통해 신호를 보낸다는 초기 데이터가 있어 식물 영양소도 CREB 경로를 활성화해 TVA와 같은 작용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 출처 : Nature, Jing Chen et al., 'Trans-vaccenic acid reprograms CD8+ T cells and anti-tumor immunity', http://dx.doi.org/10.1038/s41586-023-06749-3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갈등 속 의사·한의사 '영역 다툼'도 격화…"공개 토론하자"
의정 갈등과 의료 공백 사태 속에서 의사와 한의사 간 영역 다툼도 심해지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의사들이 의료 공백을 악용해 의과 영역 침탈을 노리고 있다"며 한방 치료의 효과 등을 주제로 대국민 공개 토론회를 하자고 한의계에 제안했다. 박상호 의협 한방대책특별위원장은 "한의계는 정부의 일방적 의대 증원 사태로 촉발된 의료 공백을 악의적으로 이용해 필수·공공의료 분야에 한의사를 활용하라는 등 얄팍한 주장을 거듭하고 의과 영역 침탈을 노리고 있다"며 "경찰이 부족하다고 경비원에게 수갑을 쥐어 줄 건가. 판·검사가 부족하다고 사법고시 강사가 재판을 보게 할 건가"라고 비판했다. 박 위원장은 "의과 진단·검사기기를 사용하고 싶다면 의사 면허나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자격증이라도 따시라"며 "면허는 종이쪼가리가 아니라 생명에 대한 책임이다. 의과 진료 따라잡기와 어설픈 의학 흉내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재만 부위원장은 ▲ 한의사의 방사선·초음파 기기 사용 ▲ 리도카인 등 의약품의 무분별한 사용 ▲ 한방난임지원사업 ▲ 한의사의 치매 진단서·소견서 발급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국민 생명·건강을


메디칼산업

더보기
검찰, 3개 중견 제약사 수사…'전공의 리베이트' 관련
전공의들의 리베이트 수수 의혹 담당 검찰이 3개 중견 제약사를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은 지난달 중순부터 혈액제제 전문기업 A사와 진통제 분야 중견 제약사 B사, 안과 의약품 특화 제약사 C사 3곳을 약사법 위반 혐의로 수사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 제약사는 2021년 리베이트 제공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 처분을 받기도 했다. 대형 병원 여러 곳을 운영하는 학교법인 D학원도 의료법 위반 혐의로 수사 대상에 포함됐다. 아울러 의사와 제약사 직원 등 8명도 각각 의료법 위반·배임수재 또는 약사법 위반·배임중재 등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이 중 일부는 뇌물을 준 경우에 적용되는 배임중재 혐의 외에도 약사법 위반, 업무상 배임, 사문서위조, 위조 사문서 행사 등 여러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앞서 서울 노원경찰서는 2019년부터 수년간 제약회사 직원들로부터 '제품 설명회'를 빌미로 회식비를 제공받은 혐의로 작년 11월 서울 한 대학병원 전공의 출신 의사들과 제약사 직원들을 불구속 송치했다. 노원경찰서는 2023년 7월 이 사건을 무혐의 처분했으나 서울경찰청의 재조사 지휘를 받고 다시 조사에 착수했고, 수사 과정에서 이번 사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