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8일 조간)

▲ 경향신문 = 선거법 재판 등 '대선 후'로 이재명, 사법 리스크 일단락

▲ 국민일보 = 파기환송심 대선 뒤로 민주, 사법부 압박 계속

▲ 서울신문 = 김문수·한덕수 75분 '단일화 빈손'

▲ 세계일보 = 민주 '李 방탄' 법안 강행 14일 대법원장 청문회도

▲ 아시아투데이 = 국힘 단일화 내홍 격화… 멀어지는 민심

▲ 일간투데이 = 고법, 이재명 공판 연기 공정성 고려 6월 18일로

▲ 조선일보 = 李 사법리스크 소멸… 법원 스스로 '독립' 거뒀다

▲ 중앙일보 = 김·한 담판 결렬…당, 단일화 강행

▲ 한겨레 =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뒤로…'재판 리스크' 멈췄다

▲ 한국일보 = 李 재판 연기… '대선 前 사법족쇄' 벗었다

▲ 글로벌이코노믹 = 삼성, 美 럭셔리 오디오 인수 'M&A 재가동'

▲ 대한경제 = 건설현장 불량 단열재 여전히 판친다

▲ 디지털타임스 = 이번엔 환율전쟁… 환율 1400원 붕괴

▲ 매일경제 = 美中, 스위스서 10일 첫 관세협상

▲ 브릿지경제 = 이젠 통화전쟁? 원·달러 환율 1300원대 급락

▲ 서울경제 = 고개 숙인 최태원 "보안혁신위 만들것"

▲ 아시아타임즈 = 체코 원전 수출 급제동…본계약 난관 봉착

▲ 아주경제 = 대출 받은 부실기업, 5년 새 1000곳 늘었다

▲ 에너지경제 = '체코 사태' 공기업 사장단에 사직 권고

▲ 이데일리 = 선심공약 지킬 돈 없다… 세수평크 때워야

▲ 이투데이 = "해킹사태 뼈아픈 반성 보안혁신위 구성할 것"

▲ 전자신문 = LG CNS, 법무부 차세대 시스템 분쟁위 간다

▲ 파이낸셜뉴스 = 롤러코스터 탄 환율 하루에 20원 급등락

▲ 한국경제 = '전력 규제'가 부른 데이터센터 땅투기

▲ 전국매일신문 = 체코 원전계약 제동에 '헛걸음' … 산업장관 "문제 없을 것"

▲ 경기신문 = 환경 파괴 진통… '장수명' 주택 구조 전환 절실

▲ 경기일보 = 행방불명된 '公約' 도민 알권리 '깜깜'

▲ 경인일보 = '대통령 당선시 형사재판 정지' 민주 단독 처리

▲ 기호일보 = 법원 후진에 이재명 대선 가도 빨라진다

▲ 신아일보 =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후로… '사법리스크' 부담 덜었다

▲ 인천일보 = 부담 털어낸 이재명 진통 여전한 보수계

▲ 일간경기 = 경기도 '기후행동 정주행' 나섰다

▲ 중부일보 = 빈손으로 끝난 '75분 독대'

▲ 현대일보 = 전 세계 곳곳의 동물방역 전문가 한자리에 모인다

▲ 강원도민일보 = 입찰가 반값도 외면 … 경기침체에 경매시장 위축

▲ 강원일보 = 알짜 상가도 '텅텅' 짐 싸는 소상공인

▲ 경남도민신문 = 경남도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시동

▲ 경남도민일보 = 도 창원시, 의대 설립 의지도 대선 공약안도 부실

▲ 경남매일 = 경남도 안방 행정 치중 '국제급 행사'가 없다

▲ 경남신문 = 10년 새 3만8000여명↓ … 멀어지는 '지방대학 시대'

▲ 경남일보 = 경남도 '남해안 해양레저관광' 본격화

▲ 경북매일 = 단일화 물건너가나? 김문수-한덕수 협상 결렬

▲ 경북신문 = 道, 8658억 투입… 임업시설·임산물 피해 지원 대폭 강화

▲ 경북일보 = 단일화 불발 김·한, 오늘 다시 만난다

▲ 경상일보 = 문수야구장, 올 시즌 NC 임시 홈구장 유력

▲ 국제신문 = 10개 노선 철도망, 부산 전역 촘촘히 잇는다

▲ 대경일보 = 포스코-LG화학 '탄소 자원화' 손 잡았다

▲ 대구신문 = 金·韓 '담판' 결렬…외연 확장 먹구름

▲ 대구일보 = 한덕수-김문수 파토

▲ 매일신문 = 李 파기환송 선거법 재판, 대선 후로 연기

▲ 부산일보 = '연산선' 신설 … 제2센텀에도 도시철도 달린다

▲ 영남일보 = 이재명 재판 연기…金·韓 단일화는 무산 위기

▲ 울산매일 = 문수야구장 유스호스텔에서 야구 본다…전국 최초

▲ 울산신문 = 문수야구장 숙박시설 유스호스텔 밑그림 나왔다

▲ 울산제일일보 = 울산에 야구붐 부나… NC다이노스 임시 홈구장 '문수야구장' 유력

▲ 광남일보 = '사법리스크' 덜어낸 이재명… "균등한 선거운동 보장"

▲ 광주매일신문 = 광주시 인구 140만명 붕괴 '코앞'…지방소멸 가속화

▲ 광주일보 = 물러서는 법원 … 이재명 재판, 줄줄이 대선 뒤로 연기

▲ 남도일보 = 이재명 재판 대선 후로 연기 …광주·전남 "환영"

▲ 전남매일 = "공정성 논란 없앤다"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 전라일보 = "지역 상권 회복-교육 불균형 해소"

▲ 전북도민일보 = 이재명 "새로운 대한민국, 힘 보태달라"

▲ 전북일보 = 외형적 성장에도 '구조적 한계' 여전

▲ 금강일보 = 길어지는 '연탄 보릿고개' 올해 더 힘들다

▲ 대전일보 = 李 파기환송심 첫 공판 연기… 계산기 두드리는 양당

▲ 동양일보 = 6.3 대선 코 앞 '밀어내기 분양' 봇물

▲ 중도일보 = 대전시 '대전역 입체화' 재시동… 정부계획 반영 도전

▲ 중부매일 = "스무살 시집와 33년간 봉양 … 부모님은 나의 전부"

▲ 충남일보 = 지자체 지원금 '쥐꼬리' … 창작활동에도 "감 놔라 배 놔라"

▲ 충북일보 = 항공인재 특구 등 8대 정책

▲ 충청도민일보 = 대선주자 못낸 충청권, 개헌에 집중할 때

▲ 충청매일 = "한덕수 점지…우린 들러리였나"

▲ 충청신문 = 대전시, 잼잼·젊은 도시 브랜드 가치 제고 '올인'

▲ 충청일보 = 충북 여야, 대선 승리 향한 '첫발'

▲ 충청타임즈 = 충북대 의대생 제적 '0명'

▲ 삼다일보 = 선거구획정위 대선 전후 구성된다

▲ 제민일보 = '특별' 사라지는 '특별자치' 해결 시급

▲ 제주매일 = 버스 이어 택시도 QR 결제 도입…대중교통 이용 편의 제고

▲ 제주일보 = 오거리·교차로 교통 정체 우려

▲ 한라일보 = 제2공항 건설 새 변수 등장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갈등 속 의사·한의사 '영역 다툼'도 격화…"공개 토론하자"
의정 갈등과 의료 공백 사태 속에서 의사와 한의사 간 영역 다툼도 심해지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의사들이 의료 공백을 악용해 의과 영역 침탈을 노리고 있다"며 한방 치료의 효과 등을 주제로 대국민 공개 토론회를 하자고 한의계에 제안했다. 박상호 의협 한방대책특별위원장은 "한의계는 정부의 일방적 의대 증원 사태로 촉발된 의료 공백을 악의적으로 이용해 필수·공공의료 분야에 한의사를 활용하라는 등 얄팍한 주장을 거듭하고 의과 영역 침탈을 노리고 있다"며 "경찰이 부족하다고 경비원에게 수갑을 쥐어 줄 건가. 판·검사가 부족하다고 사법고시 강사가 재판을 보게 할 건가"라고 비판했다. 박 위원장은 "의과 진단·검사기기를 사용하고 싶다면 의사 면허나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자격증이라도 따시라"며 "면허는 종이쪼가리가 아니라 생명에 대한 책임이다. 의과 진료 따라잡기와 어설픈 의학 흉내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재만 부위원장은 ▲ 한의사의 방사선·초음파 기기 사용 ▲ 리도카인 등 의약품의 무분별한 사용 ▲ 한방난임지원사업 ▲ 한의사의 치매 진단서·소견서 발급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국민 생명·건강을


메디칼산업

더보기
검찰, 3개 중견 제약사 수사…'전공의 리베이트' 관련
전공의들의 리베이트 수수 의혹 담당 검찰이 3개 중견 제약사를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은 지난달 중순부터 혈액제제 전문기업 A사와 진통제 분야 중견 제약사 B사, 안과 의약품 특화 제약사 C사 3곳을 약사법 위반 혐의로 수사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 제약사는 2021년 리베이트 제공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 처분을 받기도 했다. 대형 병원 여러 곳을 운영하는 학교법인 D학원도 의료법 위반 혐의로 수사 대상에 포함됐다. 아울러 의사와 제약사 직원 등 8명도 각각 의료법 위반·배임수재 또는 약사법 위반·배임중재 등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이 중 일부는 뇌물을 준 경우에 적용되는 배임중재 혐의 외에도 약사법 위반, 업무상 배임, 사문서위조, 위조 사문서 행사 등 여러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앞서 서울 노원경찰서는 2019년부터 수년간 제약회사 직원들로부터 '제품 설명회'를 빌미로 회식비를 제공받은 혐의로 작년 11월 서울 한 대학병원 전공의 출신 의사들과 제약사 직원들을 불구속 송치했다. 노원경찰서는 2023년 7월 이 사건을 무혐의 처분했으나 서울경찰청의 재조사 지휘를 받고 다시 조사에 착수했고, 수사 과정에서 이번 사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