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8일 조간)

▲ 경향신문 = '골방정치' 드러낸 친윤 주도 단일화, 국민이 모를 줄 아나

서울고법 '이재명 재판' 대선 후로 변경, 사필귀정이다

최태원 회장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이 신뢰 회복 계기 되길

'울화통' 안고 사는 한국인… 사회적 정신건강 대응 나설 때

▲ 동아일보 = 국힘 단일화 내분… 전례 없는 '무임승차 짬짜미'의 예정된 귀결

법원, 이재명 재판 대선 후로 연기… 민주당도 절제해야

체코 원전 본계약 중단… 비행기에서 전해 들은 정부 대표단

▲ 서울신문 = 사실상 법원 '백기'에도, 멈추지 않는 민주당 '위인설법'

金·韓 단일화, '윤심' 진흙탕 설전까지 점입가경

경제사령탑 속수무책 공백… 실무 관료들 저력 발휘할 때

▲ 세계일보 = 빈손으로 끝난 김·한 담판, 후보 단일화 더 꼬였다

'李 방탄법안', 거부권 견제 없는 입법독재 서막인가

체코 원전 서명 직전 날벼락, 예측 못 한 정부 책임은 없나

▲ 아시아투데이 = 합의도출 무산시킨 金·韓, 역사에 책임져야

정치공세에 파기환송심 연기… 이러다 법치 무너진다

▲ 조선일보 = "즉시 단일화" 약속 번복 金, 정치력 부족 韓, 혀를 차게 한다

'대통령직이 범죄자 도피처 될 수 있다'는 합리적 우려

아직 원인 못 찾은 SKT 해킹 "보안 넘은 안보 문제"

▲ 중앙일보 = 법치주의 조롱하는 민주당의 위인설법

유급·제적 감수하더라도 의료교육 정상화 길 출발해야

▲ 한겨레 = '이재명 재판' 연기 당연, 대법원장 선거개입 책임져야

국민의힘 '단일화' 난장판, 대선에 관심이 있기는 하나

의대 집단 유급 임박, 정부 원칙 대응하고 만반 대비를

▲ 한국일보 = 李 파기환송심 대선 후로… 사법부도 민주당도 절제해야

국정 청사진 없는 대선… 나라의 미래가 안 보인다

최태원 회장의 SKT 해킹 사고 사과, 정보 보안 책임 강화를

▲ 글로벌이코노믹 = 외국인 관광 서비스의 질을 높일 때다

글로벌 기술전쟁서 핵심기술 지키려면

▲ 대한경제 = 겉도는 '준불연' 제도, 이천 화재 재발 위험 도사린다

체코 원전 계약 서명 무산… 佛전력공사의 끝없는 훼방

▲ 디지털타임스 = 민주, 대통령 당선시 재판정지 강행… 민주주의 조종 울린 폭거

현지 법원에 급제동 체코 원전… 끝까지 수주 성사에 총력을

▲ 매일경제 = 李 파기환송심 대선후로 연기…사법부 겁박도 중단돼야

외국자본에 무방비인 국가핵심기술 보호 규정

핵보유국 인도-파키스탄 '전운'… 분쟁 연쇄확산 경계해야

▲ 브릿지경제 = '넥스트 팬데믹' 대응 넘어 백신 선도국 되려면

▲ 서울경제 = 개혁은 실종되고 선심 포퓰리즘 공약만 난무하는 대선

金·韓 단일화 '빈손' 회동 … 원칙·상식에 따라 불확실성 해소해야

삼성전자 8년만에 M&A, 규제 철폐로 신성장동력 키울 때다

▲ 이데일리 = 계약 하루 전 멈춘 26조 체코 원전, 마무리 이상 없어야

범죄 표적 우려 큰 154조 치매 자산, 관리·지원 필요하다

"대통령직, 범죄 도피처로 전락 우려 법무부, '대통령 재판 정지법' 반대

▲ 이투데이 = 해킹 범죄 심각성 곱씹게 하는 SK그룹 회장의 공개 사과

▲ 전자신문 = 보안, 기업 존폐 문제로 다뤄야

▲ 파이낸셜뉴스 = 경영 도움 안 되는 '전문성 제로' 사외이사 개선을

8년 만의 M&A 삼성, 성장동력 확보에 더 과감해야

▲ 한국경제 = '메이드 인 코리아' 둔갑 中 수출, 철저히 차단해야

민주당은 대법원장 고발과 법관 탄핵 협박, 고법은 재판 일정 파기

대선 D-26 … 李는 '1일 1공약', 국힘은 단일화 몸살

▲ 경북신문 = 중심 잃은 법치국가… 흔들리는 사법부

▲ 경북일보 =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국민적 소망이다

▲ 대경일보 = 사령탑 공백 속, 경제 부처와 금융 당국은 비상 체제 가동해야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사회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갈등 속 의사·한의사 '영역 다툼'도 격화…"공개 토론하자"
의정 갈등과 의료 공백 사태 속에서 의사와 한의사 간 영역 다툼도 심해지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의사들이 의료 공백을 악용해 의과 영역 침탈을 노리고 있다"며 한방 치료의 효과 등을 주제로 대국민 공개 토론회를 하자고 한의계에 제안했다. 박상호 의협 한방대책특별위원장은 "한의계는 정부의 일방적 의대 증원 사태로 촉발된 의료 공백을 악의적으로 이용해 필수·공공의료 분야에 한의사를 활용하라는 등 얄팍한 주장을 거듭하고 의과 영역 침탈을 노리고 있다"며 "경찰이 부족하다고 경비원에게 수갑을 쥐어 줄 건가. 판·검사가 부족하다고 사법고시 강사가 재판을 보게 할 건가"라고 비판했다. 박 위원장은 "의과 진단·검사기기를 사용하고 싶다면 의사 면허나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자격증이라도 따시라"며 "면허는 종이쪼가리가 아니라 생명에 대한 책임이다. 의과 진료 따라잡기와 어설픈 의학 흉내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재만 부위원장은 ▲ 한의사의 방사선·초음파 기기 사용 ▲ 리도카인 등 의약품의 무분별한 사용 ▲ 한방난임지원사업 ▲ 한의사의 치매 진단서·소견서 발급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국민 생명·건강을


메디칼산업

더보기
검찰, 3개 중견 제약사 수사…'전공의 리베이트' 관련
전공의들의 리베이트 수수 의혹 담당 검찰이 3개 중견 제약사를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은 지난달 중순부터 혈액제제 전문기업 A사와 진통제 분야 중견 제약사 B사, 안과 의약품 특화 제약사 C사 3곳을 약사법 위반 혐의로 수사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 제약사는 2021년 리베이트 제공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 처분을 받기도 했다. 대형 병원 여러 곳을 운영하는 학교법인 D학원도 의료법 위반 혐의로 수사 대상에 포함됐다. 아울러 의사와 제약사 직원 등 8명도 각각 의료법 위반·배임수재 또는 약사법 위반·배임중재 등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이 중 일부는 뇌물을 준 경우에 적용되는 배임중재 혐의 외에도 약사법 위반, 업무상 배임, 사문서위조, 위조 사문서 행사 등 여러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앞서 서울 노원경찰서는 2019년부터 수년간 제약회사 직원들로부터 '제품 설명회'를 빌미로 회식비를 제공받은 혐의로 작년 11월 서울 한 대학병원 전공의 출신 의사들과 제약사 직원들을 불구속 송치했다. 노원경찰서는 2023년 7월 이 사건을 무혐의 처분했으나 서울경찰청의 재조사 지휘를 받고 다시 조사에 착수했고, 수사 과정에서 이번 사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