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율 20%밖에 안 되는데…'1㎏ 미만' 세쌍둥이 치료 성공

첫째는 몸무게 늘어 퇴원…둘째·셋째도 수술 후 귀가 예정

 베트남 이주 여성이 한국에서 낳은 1㎏ 미만의 세쌍둥이가 생존 확률 20%를 이겨내고 무사히 병원 치료도 견뎌냈다.

 27일 순천향대 부천병원에 따르면 베트남 이주 여성 A(26)씨는 임신 23주 만인 지난 7월 17일 이 병원에서 세쌍둥이를 낳았다.

 첫째가 660g으로 그나마 몸무게가 가장 무거웠고, 둘째와 셋째는 550g과 540g에 불과했다. 신생아 평균 체중은 성별에 따라 3.2∼3.4㎏이다.

 보통 임신부는 38∼40주에 출산하며 37주 전에 태어난 아이를 '미숙아'나 '이른둥이'로 부른다.

 당시 전문적인 소생술을 하지 않으면 세쌍둥이가 사망할 수도 있는 긴박한 상황에서 산부인과뿐만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의료진도 출산을 도왔다.

 태어난 이후에도 세쌍둥이는 패혈증과 뇌출혈 등 중증질환을 앓은 탓에 병원에서 24시간 치료와 돌봄을 받았다.

 또 소아외과·혈관외과·성형외과·피부과 등 여러 과의 협진으로 수술을 받으면서 많은 위기를 넘겼다.

 생사의 갈림길에 설 때마다 병원비도 급격히 늘었다. 현재까지 쌓인 병원비만 4억원가량이다.

 세쌍둥이의 엄마뿐만 아니라 아빠도 베트남 이주 노동자여서 막대한 병원비를 감당하기는 어려운 형편인 것으로 알려졌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사회사업팀은 여러 후원 기관과 연계해 병원비 2억원을 마련했다.

 또 장기간 치료 끝에 첫째는 태어난 지 4개월 만인 지난 18일 몸무게 2.6㎏으로 퇴원했다. 둘째와 셋째도 체중이 좀 더 늘면 '장루(인공항문) 복원' 수술 후 집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A씨는 "세쌍둥이의 베트남 이름을 모두 합치면 한국어로 '똑같은 꽃'이라는 의미"라며 "어려운 상황에서 세 아이에게 똑같은 치료 기회를 준 병원 의료진에게 감사하다"고 웃었다.

 신응진 순천향대 부천병원장은 "세쌍둥이를 살리기 위해 모든 직원이 힘을 합쳤다"며 "인간사랑 정신을 실천한 매우 뜻깊은 치료였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