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성 장 질환, 바렛 식도와도 연관"

 염증성 장 질환(IBD)이 바렛 식도(BE)와도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염증성 장 질환은 면역체계가 대장(궤양성 대장염) 또는 주로 소장(크론병)을 표적으로 오인, 공격함으로써 장 점막에 다발성 궤양과 출혈, 설사, 복통을 일으키는 만성 난치성 장 질환이다. 완화와 재발을 반복하며 진행된다.

 바렛 식도는 위와 식도 역류로 가슴쓰림이 오래 지속되면 식도 세포를 보호하기 위해 역류한 위산을 견뎌낼 수 있는 비정상 세포로 이뤄진 보호막이 형성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 비정상세포는 암세포로 변할 가능성이 커 바렛 식도 환자의 5∼10%는 식도암으로 이행된다.

 미국 미시시피주 해티스버그 소재 메릿 헬스 웨슬리 병원 내과 전문의 닐라이 바트 교수 연구팀이 전국 입원환자 데이터베이스(NIS) 중 IBD 환자 93만280명(크론병 58만3천765명, 궤양성 대장염 환자 34만6천515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가 최근 보도했다.

 바렛 식도 발생률은 여성이 58%, 흡연자가 39%, 고혈압이 있으면 29%, 고지혈증이 있으면 34% 더 높았다.

 이 결과는 IBD와 바렛 식도 사이에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지만 어느 쪽으로든 인과관계가 있다는 증거는 찾을 수 없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바렛 식도도 IBD처럼 자가면역 질환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두 질환 모두 음주, 흡연, 식습관 등 환경 관련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두 질환은 서로 상대방의 원인일 수도 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따라서 IBD 정밀검사에는 바렛 식도를, 반대로 바렛 식도 정밀검사에는 IBD를 포함할 필요가 있 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특히 바렛 식도는 상당히 진행된 뒤에야 진단되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절대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에 대해 버지니아주 노튼의 지역병원인 밸러드 헬스 센터의 내과 전문의 수프라다 빈야크 교수는 "중요한 결과"라고 논평했다. 그러나 IBD와 바렛 식도 중 어느 쪽이 상대 질환을 일으키는지 아직 규명되지 못하고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린 '염증성 장 질환 치료 발전'(AIBD) 연례 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 낙후지역에서도 자궁경부암 손쉽게 진단한다
한·미 공동 연구팀이 의료낙후지역에서도 자궁경부암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를 손쉽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창열 박사팀과 미국 하버드 의대 이학호 교수팀은 인체유두종 바이러스(HPV)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현장 진단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피부 접촉 등을 통해 감염되는 HPV는 여성의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진단에는 세포 검사, 아세트산 시각검사, 유전자증폭(PCR) 검사 등이 활용된다. 기존 진단법은 전문 의료시설이 필요해 의료환경이 열악한 중·저소득 국가나 지역에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유전자가위 기반의 핵산 검출 기술과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을 융합, 고감도로 HPV를 진단할 수 있는 휴대용 플랫폼을 개발했다. 한 번에 최대 12개의 시료를 35분 안에 분석할 수 있으며, 진단 시약도 고형화해 현장 운송과 보관이 쉽다. 이번에 개발한 플랫폼을 통해 임상 시료 169개를 정확히 분석,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이창열 박사는 "우간다와 가나에서 현지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열악한 의료 환경에 놓인 국가나 지역의 의료 소외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학호 교수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코로나 진단 받아도 약이 없어요"…속 타는 고위험군 환자들
"코로나19 진단을 받았는데 병원은 치료제가 부족해 처방해줘도 소용없을 거라면서 감기약 처방전만 주더라고요. 이래도 되는 건가요?" 서울에 거주하는 직장인 민모(56)씨는 최근 고령의 어머니가 코로나19 진단을 받았지만 제대로 된 치료도 처방도 받지 못했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민씨는 "젊고 건강한 사람들이면 모르지만 어머니는 80세가 훌쩍 넘었다"며 "당뇨증에 합병증까지 있어 코로나19로 언제 어떻게 잘못될지 모르는데 의료 파업으로 응급실 입원도 어렵다고 하니 속이 탄다"고 말했다. 최근 코로나19 재유행으로 확진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고령층 또는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에 속하는 환자들이 치료제를 공급받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온라인상에서도 코로나19 치료제를 구하지 못해 우려하는 글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한 누리꾼은 "어머니가 자가진단 키트에서 양성 반응을 보여 동네 내과에 가 3만원을 주고 코로나19 검사를 받았는데 약이 없다고 했다"며 "약도 없는데 검사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며 울분을 토했다. "보건소에 전화해봤는데 이 지역에는 치료제가 없다고 한다", "코로나 진단을 받았는데 약이 없어 감기약만 한가득 타 왔다"는 글도 여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