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 "리보세라닙 병용요법, 간 기능 상관 없이 효과"

美 암 학회 초록 공개…'삶의 질'도 개선

 항암 신약 개발 기업 HLB[028300]는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과 면역항암제 '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이 간암 환자의 간 기능에 상관 없이 모든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고 17일 밝혔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미국 암학회(ASCO)의 소화기암 전문 심포지엄 'ASCO GI' 발표에 앞서 이날 초록으로 공개됐으며, 2022년 발표된 글로벌 임상 3상 결과를 바탕으로 세부 데이터를 분석한 것이라고 HLB는 전했다.

 HLB는 미국 자회사 엘레바(Elevar Therapeutics)를 통해 리보세라닙과 중국 항서제약의 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을 간암 1차 치료제로 개발해왔다.

 리보세라닙은 미국 어드밴첸 연구소의 폴첸 박사가 개발한 항암제로서 엘레바가 글로벌 판권(중국 제외)을 인수했으며, 항서제약이 개발한 캄렐리주맙 역시 엘레바가 글로벌 판권(한국·중국 제외)을 인수한 바 있다.

 연구는 독일 하노버의대 안트 보겔 교수가 주도했으며 스티븐 찬 홍콩 중문의대 교수, 안리청 타이페이 국립대 교수, 장성훈 엘레바 부사장, 웨이 시 항서제약 이사도 참여했다.

 간 기능이 일부 저하된 ALBI(알부민-빌리루빈 등급) 1등급 환자의 전체 생존기간(mOS)은 리보세라닙 병용요법 투여군이 23.9개월로 기존 치료제인 '소라페닙'의 15.4개월보다 길었다.

 간 기능이 많이 저하된 ALBI 2등급 환자의 경우도 mOS는 각각 19.1개월과 12.3개월로 차이를 보였다.

 특히, ALBI 2등급 환자를 대상으로 간암 표준 치료제인 '아바스틴·티쎈트릭' 병용요법의 효과가 입증되지 않고 있어, HLB는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이 시장을 빠르게 점유할 것으로 기대했다.

 ALBI 2등급은 전체 간암 환자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이와 함께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이 환자 연령대에 따른 효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도 공개됐다.

 스티븐 찬 교수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이 65세 미만 환자군에서 대조군 대비 투약 이후 피로로 인한 불편함을 느끼는 데까지 평균 14.8개월이 걸려, 소라페닙의 6.4개월보다 효과적이었다고 설명했다.

 65세 이상 환자군에서는 소라페닙을 투여하고 4.6개월만에 통증으로 인한 불편함을 느낀 반면, 리보세라닙 병용은 이 시점까지 11.2개월이 걸렸다.

 HLB는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의 판매 준비도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객실 양쪽 끝 2~4도 차이":…서울교통공사, 지하철 냉방 팁 공개
서울교통공사가 20일 여름철 지하철을 시원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공개했다. 공사에 따르면 열차 내 냉기 흐름에 따라 온도가 가장 낮은 곳은 객실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이다.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객실 중앙부로, 체감 온도 상태에 맞춰 열차 내에서 자리를 이동하면 쾌적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 냉방을 가동한 전동차 내부 온도를 측정한 결과 좌석 위치에 따라 2∼4도의 차이가 나며 승객이 많은 경우 최대 6도까지 차이가 날 수 있다고 공사는 설명했다. 추위를 느끼는 승객은 일반 칸보다 1도 높게 운영되는 약냉방 칸을 이용하면 된다. 약냉방 칸은 1·3·4호선에서는 4·7번째 칸이며 5·6·7호선은 4·5번째, 8호선은 3·4번째 칸이다. 2호선은 혼잡도가 높아 약냉방 칸을 따로 운영하지 않는다. 공사 공식 애플리케이션(앱)인 '또타지하철'에서는 열차 내 혼잡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열차가 혼잡하면 객실 온도가 오르기 때문에 혼잡도를 확인해 덜 붐비는 칸을 이용하는 것도 소소한 팁이라고 공사는 전했다. 한편 열차 승무원들은 평년보다 일찍 시작된 더위로 냉난방 불편 민원이 크게 늘면서 출퇴근 시간대에는 전 냉방 장치와 송풍기를 가동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