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약국 97%, 수급 불안정한 의약품 3개 이상"

 전국 약국의 97%에서 수급이 불안정한 의약품 품목이 3개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다.

 18일 대한약사회는 의약품 수급 불안정 동향과 의약품 균등 공급 정책에 대한 약사 여론을 확인하고자 지난달 20~22일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균등 공급 사업은 약사회가 제약사, 유통협회 등과 협력해 의약품 증산량의 일정 비율을 부족을 호소하는 약국에 우선적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는 제도다.

 전국 개국 약사 회원 2만2천535명 가운데 2천790명이 설문에 참여했다.

 '7~10개'라고 답한 응답자와 '3~6개'라고 답한 응답자는 각각 844명과 835명으로 약 30%씩을 차지했다.

 의약품 균등 공급 사업의 실효성에 대해선 36%(1천21명)의 응답자가 '별로 도움 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보통이다'라는 답변은 27%(742명), '그렇다'고 답변한 비율은 23%(632명)이었다.

 약사회는 불만족 이유의 대부분은 균등 공급 의약품의 수량이 적기 때문으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 사업을 지속하는 것과 관련해선 응답자의 84%(2천333명)가 지속하되, 품목을 확대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균등 공급이 필요한 제품 1순위로는 코감기약인 슈도에페드린 제제를 꼽은 사람이 31%(855명)로 가장 많았다. 골관절염 치료제 이모튼(21%), 변비 치료제 듀락칸이지(1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수급 불안정의 해결책으로 의약품 처방 일수와 수량을 제한하는 데에는 83%(2천318명)의 약사가 찬성했으며, 70%(1천961명)의 약사가 1인당 장기 처방 일수를 60일 이내로 제한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처방 일수 제한에 앞서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알림 등을 통해 품절 약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데에도 84%(2천352명)의 약사가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한편 특별한 사유 없이 처방전에 동일 성분 조제가 불가하다고 기재하는 병·의원이 있냐는 질문에는 38%(1천56명)의 약사가 '있다'고 답변했다. 동일 성분 조제는 수급이 불안정한 의약품을 같은 성분의 다른 품목으로 대체할 수 있게 해 수급 불안정 문제의 해결책 중 하나로 꼽힌다.

 대한약사회는 "최초 수급 불안정 의약품 발생 시 일차적으로 DUR을 통해 병·의원에 알리고, 그런데도 해소가 되지 않는 경우 처방 제한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며 "유통에서도 특정 요양기관에 공급 쏠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기적인 공급 방안이 동시에 시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의약품 수급 불안정 사태의 가장 큰 원인은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 공급 부족"이라며 "제약사 생산 동기를 올려주고,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해 필수 의약품 생산을 강제하는 제도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고령화 대비 건보료율 상한 높이는 안 검토…5년간은 괜찮지만
정부가 고령화에 대비해 건강보험료율의 법적 상한인 8%를 높이는 방안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한다. 향후 5년간은 건강보험 재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겠지만, 고령화 등으로 의료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하는 것이다. 의료비 상승의 주범으로 꼽히는 비급여 의료 행위에 '메스'를 들이대 급여와 비급여가 뒤섞인 혼합진료를 금지하고, 효과성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 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없게 퇴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4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제2차 국민건강보험 종합계획(2024∼2028)을 발표했다. ◇ 적정 수준 건보료율 논의…국고 지원 법률도 개정 정부는 급격한 고령화로 의료비가 급증함에 따라 보험 재정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 건강보험료율 상향 조정과 관련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건강보험료는 법에 따라 월급 또는 소득의 8%까지 부과할 수 있게끔 묶여있는데, 지난해 건강보험료율(7.09%)이 7%를 돌파하면서 상한에 가까워졌다. 올해 건강보험료율은 동결됐다. 배경에는 저출생과 총인구 감소, 저성장 기조 때문에 보험료 수입이 정체돼 재정의 지속성에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 있다. 정부는 다른 나라의 사례를 참고해 적정한 수준의 보험료율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