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종양 진단 혈액 검사법 세계 최초 개발"

 뇌종양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혈액 검사법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고 영국의 일간 가디언이 최근 보도했다.

 이를 개발한 영국 임피어리얼 칼리지 런던(ICL) 뇌종양 연구소는 이 혈액 검사법(TriNetra-Glio)이 뇌종양의 진단, 치료, 생존율에 혁명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이 혈액 검사법은 뇌종양에서 떨어져 나와 혈액을 타고 도는 뇌신경 교세포를 찾아내 염색한 다음 현미경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뇌종양은 대부분 신경 교세포에서 발생한다.

 뇌세포에는 뇌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신경세포와 신경세포를 지지하고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보조 세포인 신경 교세포가 있다.

 이 혈액 검사법은 분석 민감도가 95%, 특이도는 100%로 나타났다.

 민감도와 특이도는 검사법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수단으로, 민감도는 질병이 있는 사람을 '양성'으로 검출해 내는 능력, 특이도는 질병이 없는 사람을 '음성'으로 판별하는 능력을 말한다.

 연구팀은 앞으로 추가 연구를 통해 이 실험 결과가 확인되면 2년 안에 이 혈액 검사법의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때에는 뇌종양의 조기 진단과 치료가 가능해지고 환자의 생존율도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연구팀은 말했다.

 현재는 영국의 경우 40세 이전의 뇌종양 사망률이 그 어떤 다른 암의 사망률보다 높다.

 특히 교모세포종 환자는 10년 생존율이 1%도 안 되고 대개는 12개월 안에 사망한다.

 연구팀을 이끈 ICL 해머스미스 병원 뇌과학부의 넬로퍼 시에드 박사는 뇌종양은 조기 발견할 수 있는 비침습적이고 값싼 진단법이 환자 치료 개선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면서 이 최초의 혈액 검사법은 특히 뇌종양의 위치 등으로 조직생검이나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암 관리 연합회(UICC) 학술지 '국제 암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Cancer)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