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 5명 중 1명 '비만'…대부분이 복부비만 동반"

대한비만학회 '비만 팩트시트'…"조기 관리로 성인기 심뇌혈관질환 위험 줄여야"

 국내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이 5명 중 1명꼴에 달하고, 이들 상당수는 복부비만까지 동반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비만학회는 최근 10년 동안(2012~2021년)의 소아·청소년 비만율 추이를 분석한 '2023 비만 팩트시트'를 통해 2021년 기준 소아·청소년 비만율이 5명 중 1명꼴에 해당하는 19.3%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팩트시트를 보면,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은 10년 동안 남아와 여아 모두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남아의 경우 2012년 10.4%에서 2021년 25.9%로, 여아는 2012년 8.8%에서 2021년 12.3%로 각각 2.5배, 1.4배 증가했다.

 소아·청소년 비만은 보통 유아기에서 사춘기에 이르는 나이대에서 체중이 신장별 표준체중보다 20% 이상 많이 나가거나, 같은 연령대에서 체질량지수(BMI)가 상위 5%인 경우를 말한다.

 주목되는 건 소아·청소년들도 성인과 마찬가지로 복부비만 유병률이 최근 10년간 지속해 증가했다는 점이다.

 2021년 기준으로 소아·청소년 복부비만 유병률은 17.3%로 분석됐다. 비만한 소아·청소년들 상당수가 복부비만까지 동반하고 있는 셈이다.

 성별로는 남아가 2012년 대비 3.1배 증가한 22.3%의 복부비만 유병률을 보였으며, 여아는 1.4배 증가한 12.1%의 유병률을 나타냈다.

 지역별 비만과 복부비만 유병률은 모두 강원, 충북, 부산 순으로 높았다.

[대한비만학회 제공]

 학회는 이처럼 소아·청소년 비만율이 높아지는 이유로 탄산음료 등의 당 섭취 증가, 야외 놀이의 감소, 불규칙한 수면시간, TV와 컴퓨터 등 미디어 시청 시간 증가 등을 꼽았다.

 허양임 대한비만학회 언론홍보이사는 "국내 소아·청소년들의 비만 문제로 손실된 사회경제적 비용이 1조3천600억원에 달한다"면서 "하지만, 향후 비만율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홍용희 소아청소년위원회 위원은 "소아청소년기 비만은 성인기에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및 심뇌혈관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은 물론 우울증과 낮은 자존감 등의 정서적 문제를 일으킬 확률도 높아지기 때문에 반드시 조기에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비만·당뇨 동시 치료 혁신 신약 '마운자로', 상반기 국내 출시 '난망'
비만과 당뇨를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일라이릴리의 혁신 신약 '마운자로'가 상반기 중 국내에 출시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1회 용량 바이알과 퀵펜 제형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는 데 시간이 걸리면서 11개월전 허가받은 프리필드펜(Prefilled Pen·약물 사전 충전 주사제) 제형 출시까지 지연되자 당뇨병 환자들이 실망감을 내비치고 있다. 2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일라이릴리는 작년 식약처에 마운자로 바이알과 퀵펜 제형의 국내 시판 승인을 신청했지만, 아직 승인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알은 병에 들어 있는 약물을 주사기로 추출해서 투약하는 형태이며, 퀵펜(Kwik Pen)은 한 달 동안 주 1회씩 총 4회 투여하는 용량이 하나의 펜에 들어 있는 형태다. 일라이릴리는 마운자로 프리필드펜이 작년 7월 당뇨·비만 치료제로 국내 시판 허가를 받았지만 국내 환자를 위한 물량 확보가 충분하게 이뤄지지 않자 바이알, 퀵펜 제형을 포함한 3가지 제형을 함께 출시해 수요를 맞출 방침이었다. 업계에서는 국내에도 이르면 5월, 늦어도 6월 출시돼 삭센다, 위고비와 3파전이 벌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바이알과 퀵펜에 대한 허가가 늦어지면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