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3명중 1명 비만…"대사질환에 비만은 심뇌혈관질환 촉매"

세브란스병원, 7천여명 10년 추적…"건강한 비만은 없다"

 우리나라에서 비만 인구는 꾸준히 느는 추세다.

 보건복지부 통계를 보면, 국내 성인 비만율은 2019년만 해도 33.8%였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2022년에는 37.1%로 높아졌다.

 성인 3명 중 1명꼴로 비만에 해당하는 셈이다.

 비만에 대해서는 두 가지 시각이 공존한다.

 그 자체로 질병이고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치료가 필요하다는 의견과 함께, 적당히 살찐 사람이 오히려 더 건강하다는 의미의 '비만의 역설'이 있다.

 하지만, 비만의 역설은 그 기준이 모호하고 질환마다 편차가 커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다. 이 때문에 비만은 비만대로 건강 위험 요인으로 보고, 몸이 대사적으로 건강한지를 살펴보는 게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예컨대 허리둘레(남자 90㎝, 여자 85㎝ 이상), 공복혈당(100㎎/dL 이상), 혈압(수축기 130/이완기 85㎜Hg 이상), 중성지방(150㎎/dL 이상), 고밀도 콜레스테롤(남자 40㎎/dL, 여자 50㎎/dL 미만) 중 정상 범위를 벗어난 항목이 3개 이상이면 대사적으로 위험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이처럼 대사적으로 위험 요인이 있는 사람이 비만하기까지 하면 뇌졸중, 심근경색 등의 심뇌혈관질환 위험도가 높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세브란스병원과 의정부 을지대병원 가정의학과 연구팀(이지원, 박재민)은 한국인유전체역학연구에 참여한 40~69세 7천374명을 대상으로 비만과 대사적인 건강 여부에 따른 심뇌혈관질환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대사질환 분야 국제학술지(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disorders) 최신호에 발표됐다.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비만(MUHO) 그룹의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대사적으로 건강한 정상체중(MHNO)에 견줘 1.81배 높았다. [논문 발췌]

 연구팀은 연구 참여자를 대사적으로 건강한 정상체중(MHNO),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MHO),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정상체중(MUHNO),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비만(MUHO)의 4개 그룹으로 나눠 10년 동안 심뇌혈관질환 발생 여부를 추적 관찰했다.

 이 기간에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복합심혈관질환은 각각 151명(2.0%), 137명(1.9%), 283명(3.8%)에서 발생했다.

 그룹별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비만 그룹이 대사적으로 건강한 정상체중보다 1.8배 높았다.

 또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정상체중 그룹과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 그룹도 같은 비교 조건에서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각각 1.29배, 1.21배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연구팀은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의 만성 대사질환을 가진 사람이 비만까지 동반하는 경우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더욱더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지원 교수는 "전세계 사망 원인 1위인 심뇌혈관질환을 피하려면 대사적인 위험 요인을 줄이고, 적정체중을 유지하는 게 중요함을 다시 한번 강조해 주는 연구 결과"라며 "만약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의 만성 대사질환이 있다면 비만해지지 않도록 운동과 식생활에 더욱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고무처럼 늘어나고 금속만큼 전기 잘 통하는 바이오 신소재 개발
고무처럼 잘 늘어나면서 금속만큼 전기가 잘 통하는 첨단 바이오 신소재가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가천대 이태일·경희대 오진영 교수, 미국 로렌스리버모어국립연구원 최원진 박사, 한국기술교육대 채수상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이 잘 섞이지 않는 두 물질인 고무와 금속을 화학 반응의 경로, 속도 등을 탐구하는 속도론적 방법으로 뇌 주름 형상의 '금속-탄성체 나노 구조체'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고무 탄성체 기판 위에 금속 박막을 증착(蒸着)하는 시스템에서, 고무와 금속 각각 물질의 증착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화학 반응을 통제했다. 고무 분자들의 이동 속도와 증착되는 금속 원자들의 증착 속도 간 상대적 차이를 조절, 나노 니들(nano needle) 형태의 금속 구조체들이 매우 조밀하게 연결된 금속-탄성체 나노상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고무 탄성체 기판 표면에 형성된 금속-탄성체 나노상은 기판과 계면 사이의 큰 기계적 불안정성을 유도해 증착이 끝난 후, 수 시간에 걸쳐 마치 뇌 주름과 같은 형태의 표면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관찰했다. 이는 표면적이 넓어지는 효과를 얻는 동시에 금속-탄성체 나노상 내부의 특이한 나노구조를 통해, 기계

메디칼산업

더보기
"아스피린, 대장암 발병·진행도 예방…면역반응 강화 작용"
항염증과 혈전 억제 등 효과로 많은 사람이 복용하는 아스피린이 면역체계의 암세포 감지 및 면역반응을 강화하는 작용으로 대장암 발병과 진행을 예방해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탈리아 파도바대학 마르코 스카르파 박사팀은 23일 미국암학회(ACS) 학술지 암(Cancer)에서 대장암 수술 환자 230여 명의 조직 샘플을 이용해 아스피린 장기 복용이 대장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이런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스카르파 박사는 "복용한 아스피린은 수동적 확산을 통해 대장에서 상당량 흡수된다"며 "이 연구 결과는 아스피린이 염증 억제라는 고전적 약물 메커니즘 외에 암 예방 또는 치료를 보완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인 아스피린이 다양한 암을 예방한다는 연구 결과가 지금까지 다수 제시됐다. 또 아스피린을 매일 장기간 복용하면 대장암 발병률과 사망률도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작용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대장암 수술 환자의 조직 샘플을 이용해 아스피린이 종양 미세 환경과 전신 면역, 암을 둘러싼 건강한 점막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2015~2019년 대장암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