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절개 출산 아기, 홍역 백신 접종 실패율 자연분만의 2.6배"

英·中 연구팀 "제왕절개 출산아, 홍역 백신 두 번 접종하는 게 중요"

  세계적으로 홍역 발생이 급증하는 가운데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기는 홍역 백신 1차 접종 후 항체 형성이 안 될 확률이 자연분만 아기보다 2.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기에게 백신을 두 차례 접종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와 중국 푸단대 공동연구팀은 14일 과학 저널 네이처 미생물학(Nature Microbiology)에서 중국 후난성에서 0~12세 아동 1천500여 명을 대상으로 출생 후 수년간 혈중 홍역 항체 수치 변화를 분석,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홍역 백신 접종 실패는 백신을 맞은 후에도 홍역에 대항하는 항체가 생성되지 않아 홍역에 취약한 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뜻한다며 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백신 접종 실패율이 낮아도 홍역 발생 위험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이의 홍역 백신 1차 접종 실패율이 자연분만 아이보다 2.56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는 출산 방식이 장기적으로 아이의 성장기 질병 면역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출산 방식에 따른 이런 차이는 아기의 장내 미생물 군집 발달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며 자연분만의 경우 엄마에게서 더 다양한 미생물이 아기에게 전달돼 면역 체계 강화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책임자인 케임브리지대 헨리크 살제 박사는 "많은 어린이가 홍역 백신 2차 접종을 하지 않는다"며 "이는 아기 본인은 물론 전체 인구에도 위험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또 세계적으로 제왕절개 출산이 크게 늘고 있는 점과 홍역·풍진·볼거리(MMR) 백신 접종률이 적정 수준인 95%에 크게 못 미치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홍역 백신을 2회 접종해야 홍역으로부터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장기적인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지만, 2022년의 경우 전 세계 어린이 중 첫돌 전에 홍역 백신을 1회 접종한 비율은 83%에 그쳤다.

 이에 따라 지난해 전 세계 홍역 발생 건수는 32만1천582건으로 전년도(17만1천153건)보다 88%나 증가하는 등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일시 감소했던 홍역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살제 박사는 "홍역은 전염성이 강하기 때문에 가장 걱정되는 질병 중 하나"라며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기들은 1차 접종 실패 가능성이 높은 만큼 2차 접종을 꼭 받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출처 : Nature Microbiology, Henrik Salje et al., 'Dynamics of measles immunity from birth and following vaccination', http://dx.doi.org/10.1038/s41564-024-01694-x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학병원 치료 후 동네 병으원으로 돌아가는 길 막힌 환자들
동네 치과의원에서 치료가 어렵다는 소견을 듣고 대학치과병원을 찾은 환자 A씨. 다행히 복잡한 치료를 무사히 마쳤지만, 간단한 후속 관리를 받기 위해서도 계속해서 복잡한 대학병원을 찾아야 한다. 원래 다니던 동네 의원으로 돌아가라는 안내도, 관련 진료기록을 공유하는 절차도 없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치과 의료전달체계가 이처럼 1차 의료기관(치과의원)에서 상급 병원으로 환자를 보내기만 하는 '일방통행'식으로 운영돼 환자 불편과 의료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실태가 국내 첫 대규모 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공식적인 의뢰·회송 제도가 없는 상황에서 1차 치과의원들의 '선의'에 기댄 자발적 의뢰는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나, 치료가 끝난 환자를 다시 동네 병의원으로 돌려보내는 회송 시스템은 사실상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 1.6만 건 분석…회송률 5.8% '충격' 21일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서울대학교치과병원 등 4개 국립대치과병원(서울대·강릉원주대·경북대·부산대)이 수행한 '치의료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의뢰·회송 운영(안) 마련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행 치과 의료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가 수치로 명확히 드러났다. 연구팀은 2023년 한 해 동안 4개 국립대치과병원에 의뢰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