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한·폭염, 뇌졸중 사망 위험 높인다…저소득 국가 더 위험"

美 연구팀 "뇌졸중 사망 1천건 중 11건이 한파·폭염 탓"

 전 세계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극단적 기후 현상이 증가하는 가운데 혹한과 폭염이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저소득 국가에서 피해가 더 크게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T.H.찬 공중보건대학원 바라크 알라마드 박사팀은 23일 의학 저널 '뇌졸중'(Stroke)에서 극한 기온 현상과 뇌졸중 사망률 간 연관성에 대한 다국적 조사 결과, 뇌졸중 사망 1천건당 11건이 극심한 추위와 더위로 인한 초과 사망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극심한 기온 현상과 뇌졸중 사망률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는 결론이 엇갈리거나 명확하지 않은 결과가 도출되고, 연구 대부분이 단일 도시나 국가, 특히 고소득 국가에 국한되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분석 결과 허혈성 또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 1천 건당 약 11건이 상위 2.5%에 해당하는 혹한 또는 폭염으로 인해 것으로 나타났다. 이 11건 중 9.1 건은 혹한, 2.2 건은 폭염 때문에 발생한 초과 사망으로 분석됐다.

 또 출혈성 뇌졸중 사망 1천건 중 혹한과 폭염으로 인해 발생한 초과 사망은 각각 11.2 건과 0.7 건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또 저소득 국가가 고소득 국가보다 폭염 관련 출혈성 뇌졸중 사망률이 더 높았으며, 혹한도 폭염만큼 영향이 크지는 않지만, 출혈성 뇌졸중 사망률을 높이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허혈성 뇌졸중 사망률과 국가별 국내총생산(GDP) 사이에서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소득 수준에 따른 국가 간 뇌졸중 사망률 격차는 고소득 국가와 저소득 국가의 실내 온도 조절 시스템, 실외 작업 비율, 의료 서비스 수준 등 차이로 설명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기후변화가 심화하고 기온 변화가 더 극심해짐에 따라 뇌졸중 사망이 증가하고 고소득-저소득 국가 간 격차도 더 커질 것이라며 저소득 국가의 출혈성 뇌졸중 사망률 증가 원인을 밝히고 대책을 마련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출처 : Stroke, Barrak Alahmad et al., 'Extreme Temperatures and Stroke Mortality: Evidence from A Multi-Country Analysis', http://dx.doi.org/10.1161/STROKEAHA.123.045751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부 "진료거부 용납 안돼"…휴진율 30% 넘으면 업무개시명령
의료계가 대한의사협회(의협)를 중심으로 휴진을 결의한 가운데 정부는 헌법적 책무에 따라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개원의들에게 진료명령과 휴진 신고명령을 발령함에 따라 휴진하려는 의료기관은 이달 13일까지 신고해야 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불법 집단행동을 유도했다는 이유로 의협을 대상으로 공정거래법 위반 여부를 살피기로 했다. ◇ 오늘부로 개원의에 진료명령…정부 "모든 대책 강구" 전병왕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10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진료 거부는 국민과 환자의 생명권을 위협하는 절대 용납될 수 없는 행동으로, 정부는 집단 진료거부에 단호히 대응할 수밖에 없다"며 이같은 대응 방침을 밝혔다. 앞서 서울대 의대 및 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위원회가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전체 휴진을 결의한 데 이어 전날 의협이 18일에 집단 진료거부와 총궐기대회를 예고한 상태다. 정부는 집단 진료거부가 현실화하지 않도록 모든 대책을 강구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의료법에 따라 이날부로 개원의에 대한 진료명령과 휴진 신고명령을 발령하기로 했다. 각 시도는 의료법 제59조 제1항을 근거로 관할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집단행동 예고일인

학회.학술.건강

더보기